심리학적인 연금술
고영건, 안창일 지음 / 시그마프레스 / 2007년 5월
품절


결국 심리학적인 연금술이란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문제들을 삶의 상징적 성격에 대한 재발견을 통해 해결해 나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47쪽

객관적으로 보면 과거에 비해 현대인은 물질적으로 비할 데 없는 풍요로움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사람들이 물질적으로 더욱더 풍요로워질수록 욕구좌절 수준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53쪽

사람들은 누구나 행복하고 낙관적이기를 바라지만,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가만히 들여다 보면, 마치 불행해지기를 갈망하는 것처럼 사고하고 행동할 때가 있다. 셀리그만은 낙관적인 사람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변별해 내기 위하여 낙관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그는 이 척도에서 낙관성을 세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그 세 가지 차원은 지속성permanence, 확산성pervasiveness, 그리고 개인화personalization이다.-83쪽

하지만 관계를 의미 있게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단순히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선물이 아니라 상대방에게 필요한 동시에 자신에게도 가치 있는 것을 선물하는 것이 중요하다.-107쪽

널리 알려진 것처럼, 조선 정조시대에 유한준兪漢儁이라는 문인은 "석농石農 김광국金光國의 수장품에 부친 글"을 통해 사랑하는 사람을 이해하게 되는 방법에 관한 심리학적인 통찰을 담은 표현을 남겼다. 긴 여운을 남기는 "천하의 명언"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으리라.-112쪽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인 존중은 지지적인 과정을 통해 비행청소년이 잘못된 행동을 나타내지 않도록 통제하는 것을 돕는다.-128쪽

대략적으로 10~20퍼센트정도는 일반지능이 성공에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나머지 80~90퍼센트 영역에 대해서는 감성지능이 기여할 가능성이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149쪽

로저스는 상담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내담자와 상담자가 서로 만나서 관계를 형성하고 또 상담이 진행되는 순간에 일어나는 일들을 온전하게 이해하고 느끼는 것이지 과거사를 들춰 내어 분석하는 것은 아니라고 믿었다.-262쪽

하버드 대학의 성인 발달 연구는 자신의 약점을 잘 인식하고 있는 자기-비판적인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장점을 잘 이해하는 자기-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삶에서 훌륭한 성과를 이룬다는 점을 보여준다.-278쪽

다시 말해, 내쉬의 균형점이론이 예언하는 대로, 처음에 모든 문제 상황에서는 비협력적인 갈등요소만 눈에 띄지만,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노력하면 항상 서로에게 의미 있는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들을 찾을 수 있다는 경험적인 증거가 축적되고 있는 것이다.-30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