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로 사랑은 이데올로기보다 사람을 더 허기지게 하는가.-22쪽
이 거리의 바깥으로, 삶의 표면으로 걸어나갈 수 있긴 할까. 이제 돌아가면 어떤 것이 영화의 한 장면이었고, 어떤 것이 내가 실제로 걸어본 아바나의 거리인지 구별할 수 없을 것 같다. -41쪽
약한 곳, 눌린 자를 바라보는 그의 따스한 시선 때문이었다. 의대생에서 게릴라 대장이 된 이 얼음과 불의 사내에 대해서 잘 폴 사르트르는 "우리 세기에 가장 성숙한 인간"이라고 평했다던가.-89쪽
이파리를 가시로 바꾸며 저 선인장들이 뜨거운 태양을 견뎌내듯, 산다는 건 어차피 무언가를 견뎌내는 것이 아니던가.....-128쪽
생의 한가운데 지점에서 시력을 잃는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그것은 기억과 추억만으로 나머지 생을 살아야 하는 것일지도 모른다.-163쪽
실수로 스텝이 엉기면 그게 바로 탱고라오. 실수로 넘어지면, 그게 바로 삶이라오. 영화 [여인의 향기]에서 눈먼 퇴역장교 알 파치노가 실수를 두려워하는 젊은 여성과 탱고를 추면서 들려주는 대사다.-169쪽
여행이란 제 마음속의 환상을 찾아가는 것. 환상의 속성이 그러하듯 대개 여행지에서 우리는 짐작과는 다른 현실을 마주하게 된다. -209쪽
사람들은 늘 자신의 삶을 프리즘으로 하여 하나님을 해석한다. -218쪽
그러니까 그 나이였어. ……시가 나를 찾아왔어. 나는 몰라, 그게 어디서 왔는지. 겨울에서인지, 강에서인지. 언제 어떻게 왔는지 모르겠어. 아니야, 그건 목소리는 아니었어. 말도, 침묵도 아니었어. 하여간 어느 거리에선가 날 부르고 있었어. 밤의 가지에서, 느닷없이 타인들 틈에서, 격렬한 불길 속에서…… -파블로 네루다 「시(詩)」중에서-252쪽
마흔일곱이란 알아야 할 것은 모두 알아버린 나이이며, 고매한 명분이든 여자든 더 이상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는 나이라고 스스로 냉소하며 생을 환멸하던 이 사내는 그러나 다시 희망에의 유혹에 빠져든다. -276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