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브로브니크는 그날도 눈부셨다 -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기행- 유럽편
권삼윤 지음 / 효형출판 / 1999년 6월
품절


육체는 나름의 감각을 갖고 있다. 머리가 아니라 몸으로 느끼는 '체감'이 바로 그것이다. 체감온도, 체감물가란 말에서 보듯이 그것은 상대성에 기반을 두고 있어 이론적으로 증명되는 절대온도나 통계상의 물가와는 다르다. 내가 느끼는 것이 당신이 느끼는 것과 다를 수 있듯이 '육체'를 자랑하고 '체감'을 존중하는 그리스를 비롯한 지중해 문화권은 바로 이같은 상대성을 최고의 가치로 인정했다. 그 바탕 위에 자유와 평등의 개념이 싹텄다.-18-19쪽

유일(唯一)과 전능(全能)을 뜻하는 열쇠, 그것은 한편으로는 배제와 부정을 담고 있다. 오직 그것만이어야 하고 그래서 그 어떤 것으로도 대체가 불가능하니까. 메마르고 척박한, 그래서 생명체가 잘 자라지 않고 변화가 없는 팔레스타인 땅에서 태어난 기독교란 종교의 핵심이다. 이와 같은 땅에서 태어난 유일신 종교인 유태교나 이슬람교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69쪽

아우슈비츠(Auschwitz)와 오수비엥침(Oswiecim). 똑같은 곳을 다르게 부르고 있는 사실에서 이중적인 역사의 실체를 발견한다. -176-177쪽

역사는 창조해 나가며 새로이 써가는 것이긴 해도 기억이란 레일 위를 달리는 것일 뿐 결코 여기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기억은 하나의 유전인자가 되어 대대로 이어져 내려가며 역사의 레일 노릇을 하기 때문이다. 요즘 입에 오르내리는 '정체성(identity)'이란 것도 따지고 보면 기억을 공유하는 것에 다름 아니지 않은가. 그래서 식민지배자는 기억의 도구인 피지배자의 말과 글, 그리고 그 내용인 역사를 가르치는 것을 무슨 수를 써서라도 막으려 하는 것이 아니던가. -179쪽

자신의 문제를, 그리고 삶을 스스로의 역사적 경험과 뼈를 깎는 듯한 고민과 진지한 성찰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남이 이미 이룩한 성과만을 좇아 손쉽게 해결하려고 하는 서구화 또는 위로부터의 혁명은 겉으로는 그럴 듯한 성과를 보여줄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속으로는 곪게 마련이다. 그렇게 곪고 터지는 부분은 혁명을 통해 이득을 보는 소수가 아니라 늘 가난하고, 못배우고, 힘없고, 수모당하고, 박해받는 다수의 약한 자의 몫이 된다. 러시아가 그랬고 또 많은 나라에서도 그랬다. 그것이 어찌 그들만의 일로 끝나겠는가.-194쪽

개혁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선택하는 고육지책이다. 위기는 항상 사회 모두가 제 구실을 다하지 못할 때 나타나므로 개혁은 원래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새로운 방법으로 대응하는 것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200쪽

유럽의 기독교 세계에선 왜 까마득히 높은 탑이 세워졌는지에 의문을 갖고 오랫동안 연구한 마그다 알렉산더는 [탑의 사상]이란 저서에서 탑은 실용적 기능은 없고 오직 형이상학적 기능만 있다는 전제하에, 그 형이상학적 기능이란 '생(生)에의 의지'와 권력에의 의지'의 표현이라고 풀이했다. -208쪽

여느 도시 같으면 이들을 모두 수용하기 위해 길도 넓히고 호텔이나 레스토랑을 비롯한 편의시설들을 짓겠지만 베르겐은 그러지 않았다. 그들은 지금의 수용능력과 정화능력의 범위 내에서만 관광객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관광객들이 뿌리는 돈에 현혹되어 삶의 공간이 망가지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다. 관광객들은 잠시 이곳을 지나갈 뿐이다. 그러나 그들의 자손들은 오래도록 이곳에서 살 것이다. 오늘 이 순간을 위해 미래를 희생할 수 없다는 생각과 내가 내 삶의 주인이라는 믿음으로 그들은 산다. -236쪽

그러나 오늘 우리는 시간의 흐름을 알기 위해 하늘을 쳐다보지는 않는다. 대신 시계를 본다. 내일의 날씨가 궁금할 때는 창문을 열고 하늘을 보는 것이 아니라 일기예보를 듣거나 읽는다. 자연의 변화를 감지하는 일들을 모두 기계에 맡겨 버린 현대인들은 오직 자기 주위의 사소한 일들에만 관심을 갖는다. 하늘, 영원, 근본, 전체... 이런 것들은 관심사에서 멀어진 지 이미 오래다.-31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