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 오래 보기 - 진정한 관점을 찾기 위한 기나긴 응시
비비언 고닉 지음, 이주혜 옮김 / 에트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이 되었든지 결국 모든 것은 관점이라는 지배적인 문제로 돌아갔다. (중략) 그저 관점을 하나 ‘가지기만‘ 해도 정말로 할 말이 있을 때와 단지 다람쥐 쳇바퀴 돌리듯 종이 위에 검은 점을 옮기고 있을 때를 진지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9쪽)

이 판에서 그 남자들과 동등하게 여겨진 유일한 여성들이 메리 매카시와 한나 아렌트였고, 나머지는 사교 모임에는 받아들여졌지만 아무도 그들의 말을 귀 기울여 듣지 않았던 아내들이나 여자친구들이었다. (62쪽)

그러나 이와 같은 문장을 - 우리의 실제 삶과 너무도 동떨어진 - 표현력 있는 언어를 향한 사랑으로 반세기 전과 똑같이 찬사를 받는 예술가의 작품에서 읽는다는 것은 슬프고도 혼란스러운 일이다. (118쪽)

실천과 이론 사이 가장 중요한 차이를 만드는 정확한 원인임에도 불구하고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거의 다루지 않는 것이 바로 이것 - 내면의 혼돈 - 이다. 그 차이 안에 우리가 실제로 경험하는 삶이 존재하는데, 중재를 위한 이성이 영원히 감정적 갈등에 사로잡혀 있는 바람에 우리가 자신을 대하듯 진실로 타인을 대하기 위해 필요한 존중을 서로에게 허용하는 능력이 꾸준히 훼손되고 있다. (139쪽)

다시 말해 세계는 우리 스스로 만든 결과라는 통찰이다. 자유롭게 숨 쉴 필요는 주어진 것이지만 자유롭게 숨 쉴 권리는 그렇지 않다. 인간에게 권력을 향한 의지는 거리를 차지하기 위해 우리와 같지 않은 사람들의 권리에 지속적으로 도전해야 하는 체화된 힘이다. 어떤 조건에서도 자신과 다른 사람들은 그 도전을 자유롭게 무시할 수 없다. 더욱이 그 도전은 해당 조건 속에서 저항해야 한다. (179쪽)

자신의 세계를 만드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면 자신이 살아가는 세계에서 희생당할 수밖에 없다. 언제나 행동력이 필요하다. 행동력을 행사하지 않으면 정말로 행동력을 행사하는 사람들의 노예가 될 수밖에 없다. (180쪽)

[남자로서 나의 삶]에서 분명히 드러나지 않은 여성협오는 느리고 새까만 독처럼 페이지 곳곳으로 새어 나와 예술적 일관성을 흐리고, 도덕적 지능을 붕괴시키며, 삶을 더 사랑하기 위해 책을 읽는 사람들에게 사실상 아무 소용 없을 정도로 작품의 진정한 주제를 너무도 사적이고 추악하게 만들어버린다. (282쪽)

내가 보기에 여성의 종속은 여성의 결혼이 중추적인 경험이라는 -남성과 여성 모두 공유하는- 확신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중략) 결혼해 ‘보살핌을 받을‘ 것을 ‘깊이‘ 아는 여성은 -그래서 결혼이 인생의 중심 사건임을 아는- 어떻게 보면 자신의 경험 자아를 남편에게 넘겨주는 것이고, 그 경험 자아는 남편이 자신의 싸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여분의 무기가 된다. (중략) 오늘날 페미니즘의 과업은 여성의 경험 자아를 다시 창조하는 일이다. 오래된 반응, 오래된 습관, 오래된 감정적 확신을 새로운 관점, 즉 새로운 의식의 관점으로 다시 검토하는 광범위한 내부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290-291쪽)

궁극적으로 우리 예술은 우리의 두려움에 엮인 욕망의 진영을 반영한다. 사회운동은 두려움이 우세를 물리치려는 본능적 욕구에서 곧바로 나올 때 의미가 있다. 그 욕구가 감정적인 -그리하여 문화적이고 정치적인- 변화를 서서히 확립하고 서서히 강제하는 한 가지 생각이 된다. (중략) 이제 가장 어두운 불안보다 명백한 욕구에 따라 행동하게 될수록 여성적 감수성도 성장할 것이고, 그렇게 발달하는 감수성으로 쓰여질 소설들은 동시에 페미니스트 프로젝트, 즉 경험하는 자아의 해방을 향한 길잡이이자 반영이 될 것이다. (316-317쪽)

고닉이 존중하는 ‘증언‘ 혹은 경험의 진술은 상상력이 풍부한 언어를 동반해야 하는데, 이 언어를 음미하며 대화를 나누고(‘독서모임‘ 같은 실제 대화와 작품 속 페르소나와의 대화를 모두 말한다) 읽기 전과는 다른 지평으로 자신을 데려가는 행위가 고닉에겐 바로 궁극의 일기다. 그러나 고닉이 생각하는 상상력이 풍부한 언어는 소위 ‘미문‘이 아니다. 온갖 수사를 동원한 언어보다 경험의 의미를 가장 명료하게 전달하는 언어다 고닉에겐 가장 아름다운 언어일 것이다. (35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