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지니아 울프의 독서와 글쓰기는 런던 거리를 걷기부터 시작된다. [런던 유령]은 그녀가 소설들을 쓴 방식과 맞물려 있다. 특히 [댈러웨이 부인], [등대로], [파도]에서 그녀의 글 쓰는 방법을 알 수 있다. 수많은 어휘 속에서 시간과 기억에 맞는 단어를 골라 적합하고 적절하게 정확하게 쓴 글들이다. 거의 자서전적인 글이라 볼 수 있다. 그녀의 글은 경계가 있으면서도 경계가 사뭇 다른 서로 침범할 수 있는 선과 악, 미와 추, 흑과 백, 육체와 정신, 내면과 외면이 있다. 우리가 집중하여 온전히 따라가기가 어렵다. 그래서 책을 읽는 방법은 각각의 책은 여러 면에서 사람과 같다는 그녀는 "사람을 두고 '기묘한 일이지만 나는 당신을 좋아한다. 또는 내가 틀릴 수도 있지만 우리는 잘 지낼 수 없다고 확신해. 나는 결코 당신을 견딜 수가 없어'와 같은 직관적인 말을 한다. 이것이 독서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187-188쪽)." 고 말한다. 그러므로 독서는 사람을 읽어내는 방식이다. 자신과 공통된 경험과 유사성을 찾아내어 타인을 읽어내는 것이다. 이것이 독서하는 방법이다.   

"버지니아 울프에게 런던 배회는 '그녀의 독서와 그녀의 자아들, 그녀의 사회를 여는 키' 자체였다(2240쪽)." 그녀가 다니는 것을 소위 걷기나 산책보다는 배회라고 명하니 [런던 유령]이라는 제목과 부합하다는, 그런 생각이 들었다. 여자들이 집 밖을 나와 다닌다는 것, 그 뿐 아니라 규범과 제약이 많이 따랐던 학교까지 벗어난 그녀는 배회를 통해 글을 썼다. 그녀의 글쓰기의 근간이 되는 배회에서 주축이 되는 세 권의 책을 천천히 읽고 싶다. "[댈러웨이 부인]은 현재에 뿌리를 내리고 과거를 머금고 있고, [등대로]는 오늘 하루에, 그리고 미래의 오늘 하루에 같은 사람들이 머물고, [ 파도]는 성장, 노쇠의 과정을 전부 보여주지만, 사건 자체가 아니라 사건을 겪어낸 뒤의 내면을 보여준다(222쪽)." 세 소설은 우리의 삶의 과정을 보여주는 '세월' 자체라 할 수 있다. 

요즘 걷는 것에 대한 말이 많다. 심지어 광고에도 나온다. "쓰기와 걷기는 육체적이고 정신적인 부분에서 동격을 이루는 지극히 비슷한 행위이다(252쪽)." 그러고 보면 수많은 작가들이 걷기를 통한 사유 활동으로 창작을 했다. 찰스 디킨스 [크리스마스 캐롤]도 산책으로 탄생했다나.. 

드문드문 읽은 글에서도 "왜 여자는 아무 부담 없이 자신이 태어난 세상을 혼자 걸어서 탐험하면서 생각을 할 수 없는 걸까? 어느 누구에게도 피해를 끼치지 않는데 말이다. 훤한 대낮에 밖에 나가 두려움 없이 걸을 수 있게 해 달라는 게 지나친 요구인가?([자기만의 산책] 중에서)"


-배회 : 아무 목적도 없이 어떤 곳을 중심으로 어슬렁거리며 이리저리 돌아다님.

-산책 : 휴식을 취하거나 건강을 위해서 천천히 걷는 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