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 일기
롤랑 바르트 지음, 김진영 옮김 / 이순(웅진)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그러나 별로 반갑지 않은 위안들. 애도는, 우울은, 병과는 다른 것이다. (18쪽)

내 주변의 사람들은 아마도 곰곰이 생각하는 것 같다(어쩐지 그런 것 같다). 나의 슬픔이 얼마나 깊은 것인지를. 하지만 한 사람이 직접당한 슬픔의 타격이 얼마나 큰 것인지를 측정한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다(이 우습고도 말도 안되는 시도). (20쪽)

"두 번 다시 볼 수 없다니!" 이 말은 영원히 죽지 않는 그 어떤 존재만이 할 수 있는 말이다. (21쪽)

나의 슬픔은 아마도 이런 것이리라. (중략) "우리는 서로 사랑했다"라는 사랑의 관계가 찢어지고 끊어진 바로 그 지점이다. 가장 추상적인 장소의 가장 뜨거운 지점...... (47쪽)

이 순수한 슬픔. 외롭거나 삶을 새로 꾸미겠다거나 하는 따위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슬픔. 사랑의 관계가 끊어져 벌어지고 패인 고랑. (50쪽)

이 당혹스러운 부재의 추상성. 그런데도 그 추상성은 뜨겁게 달아오르고 너무 마음을 아프게 한다. 나는 비로소 추상이 무엇인지를 이해한다. 추상은 부재이면서 고통이다. 그러니까 부재의 고통. 그런데 어쩌면 이건 사랑이 아닐까. (52쪽)

슬픔은 잔인한 영역이다. 그 안에서 나는 불안마저 느끼지 못한다. (64쪽)

우리가 그토록 사랑했던 사람을 잃고 그 사람 없이도 잘 살아간다면, 그건 우리가 그 사람을. 자기가 믿었던 것과는 달리, 그렇게 많이 사랑하지 않았다는 걸까......? (78쪽)

일에 열중하고 일에 쫓기는 흥분상태 속에서 우리 자신을 잊어버리면. 그때 가장 깊은 비애 속에 빠지고 만다는 사실. 내면 안에 머물기. 조용히 있기. 혼자 있기. 오히려 그때 슬픔은 덜 고통스러워진다. (110쪽)

이런 말이 있다. 시간이 지나면 슬픔도 차츰 나아지지요 - 아니. 시간은 아무것도 사라지게 만들지 못한다; 시간은 그저 슬픔을 받아들이는 예민함만을 차츰 사라지게 할 뿐이다. (111쪽)

그런데 이런 애도(지금 내가 겪고 있는 애도)의 슬픔은 래디컬하게 그러니까 새로운 방식으로 죽음을 길들이는 일이다: 왜냐하면 죽음에 대한 의식이 예전에는 그저 남에게서 빌려온(졸렬한, 다른 사람들에게서, 철학에서 얻어낸) 것이었다면, 지금 그것은 나 자신의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 내가 고통스러운 건 죽음의 의식 때문이 아니다. 그건 나의 애도 때문이다. (129쪽)

마망의 죽음 때문에 빠져버린 고독은 이제 그녀와 아무 상관이 없는 영역으로까지 팔을 뻗는다. (중략) 온몸을 탕진케 하는(공황 상태와 같은) 외로움의, 슬픔의 환유. (133쪽)

사랑이 그런 것처럼 애도의 슬픔에게도 세상은 비현실적이고 귀찮은 것일 뿐이다. (136쪽)

애도의 슬픔으로, 마음의 번민으로 내내 시달리면서도 (그것도 더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을 정도로, 결코 거기서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그렇게 지독하게), 전혀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거의 막돼먹은 아이처럼) 여전히 잘 돌아가는 습관들이 있다. 욕망의 낄낄거림, 작은 탐닉들, 난-널-사랑해라는 욕망 -- 아주 빨리 사라져버리는, 곧 다시 다른 사람에게로 방향을 바꾸는 -- 그런 욕망으로 가득한 담론의 습관들. (151쪽)

마망의 사진들을 오래 바라보는 일. 그 사진들에서 출발하는 글쓰기 작업에 대해서 내가 갖고 있는 두려움을 (중략) 늘 똑같은 의견이 있다: 애도의 슬픔은 점점 익어가는 것이라는 생각. 그러나 내 경우 애도의 슬픔은 제자리에서 꼼짝도 하지 않는 그런 것이다. 그 어떤 진행의 과정도 거기에는 없다: 때문에 너무 이른 애도의 슬픔 같은 것도 없다. (159쪽)

마망의 죽음은, 모든 사람들은 죽는다는, 지금까지는 추상적이기만 했던 사실을 확신으로 바꾸어주었다. (216쪽)

삶의 결핍 상태가 서서히 구체적인 얼굴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것이 무엇이든 어떤 새로운 일을 꾸며서 만들어갈 수가 없다(글쓰기는 예외지만). 우정도 사랑도 그 밖에 다른 일들도. (234쪽)

자살
죽으면 괴로워하는 일도 없게 된다는 걸 어떻게 알 수 있을까? (25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