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자의 눈과 자세로 철학을 개혁한 후설로 이해한다. 

*의식과 객관적 존재 사이의 관계에서 비주관적인 객관성, 서로 다른 세계관, 사랑을 통한 타자와의 결합으로 조화로운 공동체로 사는 세상, 그러나...


*후설은 하이데거의 스승으로 수학자에서 브렌타노의 강의 때문에 철학자의 길로 들어선다.

-비주관적인 객관성이 모든 철학적 방법론적 시금석이어야 한다. 

-우리가 별 생각 없이 보는 이 세계가 존재한다는 믿음이 하나의 철학적 지식이 되려면 별도의 철학적 정당화가 필요하다.  

-주관적 심적 작용과 객관적 논리적 존재 사이에는 나름의 상관 관계가 있다.

-의식은  지향성을 지닌다. 즉 모든 의식 작용은 반드시 어떤 것에 관한 의식으로서 그의 상관자인 대상을 지닌다. 

-의식 현상의 지향 구조가 왜곡되는 것을 막기 위해 판단 중지(선입견들로 부터 떠나는 것)와 현상학적 환원(판단을 유보하고 의식의 지향성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것)의 태도를 취해야 한다. 

-서로 다른 본질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의식이 존재한다.

-다양한 의식을 각각 나름의 방식으로 우리가 대상을 경험한다. 즉 내적 지각, 외적 지각, 수학적 직관, 타인 지각 방법으로 각각의 의식이 해당하는 대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과정을 '초월론적 구성'이라 한다.

-초월론적 현상학은 개별적 대상 뿐 아니라 세계 역시 나름의 의식을 지닌 것으로 본다. 세계 의식이 세계를 구성하는 장본인으로 세계 의식은 살면서 세계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의식이다. 

-세계는 있는 것들의 총체다. 그러나 초월론적 현상학에서 세계 의식은 주체가 경험하는 의미로서의 세계이다. 사람은 저마다 세계를 다르게 경험하게 된다. 그 이유는 각자가 서로 다르게 살아가면서 서로 다른 세계 의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은 10년 전과 지금의 세계가 다른 의미로 경험하며 살았을 것이다. 각 시기마다 의미로서의 세계가 다르고 이에 따라 세계 의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의미로서의 세계는 주체가 가지고 있는 세계 의식을 통해 구성되며 계속 변한다.  

-의미로서의 대상과 세계를 구성하는 주관을 '초월론적 주관'이다. 초월론적 주관은 우리들 각자이며, 의미로서의 대상과 세계를 구성한다. 또한  의미로서의 대상과 세계를 창조하는 원천이며, 계속 재창조하므로 우리는 의식적으로 창조적인 삶으로 나아가야 한다. 

-후설은 세계를 '생활세계'로 표현하며, 이러한 생활세계의 성격을 '지평'의 개념으로 표현한다. 생활세계 개념은 주관과 객관이 하나로 통일된 세계 개념이다. 후설은 자연과학적 객관주의를 비판하면서 '학의 위기'로 규정한다. 즉 당대의 실증적 학의 인간적 삶에 대한 무관심, 그리고 이로 인한 철학적 의미의 상실 등의 현상을 일컫는다. 

-생활세계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적 삶의 세계로서 직접적 경험 속에서 주어지는 세계다. 그런데 자연 과학의 영향으로 주관적인 세계가 아닌 객관적 세계만이 참된 세계라고 여긴다. 

-우리는 자신의 인식 틀에 따라 세계를 정형화하고 유형화해 파악하고자 하며, 최대한 조화롭고 의미 있게 이 세계를 이해하려 한다. 그래서 우리는 규칙적이고 질서 있게 삶을 영위할 수 있으며 이 세계에 친숙감을 느낀다. 즉 경험 대상들의 의미의 연관체가 바로 지평이다. 지평은 우리 습성의 상관자다. '보편적 지평으로서의 세계'가  '생활세계'이다.

-후설은 생활세계 개념과 더불어 존재론적인 관점에서 타자와 세계의 문제를 바라보는 '사랑의 공동체' 개념도 말한다. 후설의 존재론은 개체 중심이 아니라 공동체 중심의 전체론적 세계관을 취한다. 즉 각 개인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만 존재 가치가 있으며, 타자와의 관계가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나와 타자가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 지가 주된 관심사다. 사랑을 통한 타자와의 결합이 인간 간의 결합의 최고 형태로 본다. 하지만 현실에서 가능할까. 

-후설은 조화로운 공동체로서의 세계가 현실화하는 모습을 목격하지 못하고 반대의 가능성만 체험하고 생을 마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