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 있는 삶
마리 루티 지음, 이현경 옮김 / 을유문화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이란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명쾌한 정답이란 없으며, 바로 이 점이 인간이란 존재를 더욱 흥미롭게 만든다는 것 (중략) 그렇기에 우리는 매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동기를 부여받게 되는 것이다. (28쪽)

우리 인간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를 우리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보람 있는 삶을 영위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주고 싶다. (49쪽)

삶에는 그 누구도, 또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사람이나 열망이, 우리가 결코 뛰어넘을 수 없는 치명적인 상실이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사람이나 열망은 마음에 지워지지 않는 각인을 남겨 우리의 내면을 구성하는 주요 특징이 될 수도 있다. (90쪽)

욕망은 분명 평생에 걸쳐 진화한다. (127쪽)

자신을 비참하게 여기던 마음을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마음으로 바꾸기 위해서, 먼저 우리는 내면에 쌓인 자기혐오의 앙금을 지워내야 한다. (138쪽)

현대의 도시 생활, 통신 기술, 장거리 이동의 용이는 때때로 우리가 낯선 사람의 팔꿈치를 끊임없이(그리고 마지못해) 문지르고 있다고 느낄 정도로 사람들 간의 거리를 줄어들게 했다. (중략) 즉 사람들이 사방에서 우리 공간을 침해해 올 때는 개인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쉽지 않다. (161쪽)

긍정적인 사고가 우리 삶의 객관적인 상황까지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중략) 생각에는 선뜻 동의할 수 없다. (180쪽)

기질의 부름을 받는 것은 좋은 삶의 관습적인 정의에만 매여 있던 우리를 자유롭게 해 준다. (중략) 기질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일을 해 나가길 원한다. (218쪽)

우리가 아무리 즐거운 경험을 갈망한다고 하더라도, 과하지 않은 수준이어야지 비로소 즐거움을 향유할 수 있다. 선을 넘는 순간 우리는 고뇌에 빠지게 된다. 이것이 삶에서 항상 절제를 추구해야 하는 이유다. (227쪽)

우리는 낡은 자아의 모습을 올바르게 애도하는 법과 잘 버리는 법을 배워야 하는데, 우리가 계속해서 삶을 의미 있게 느끼기 위해서라도 꼭 필요하다. (258쪽)

우리가 가진 열망을 실제로 우리가 달성할 수 있는 수준으로 조정할 때, 우리는 ‘초월성‘을 일상생활 깊숙이 초대하게 된다. (280쪽)

삶의 기술은 무아지경과 절제력의 조화를 요구한다. (29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