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은 자신이 태어난 식민지 시대에서, 전쟁, 포로수용소, 독재시대, 4.19로 이어지는 지난한 외부 환경을 뚫고서 자신의 삶을 고스란히 시로 담아내고 있다.  

시를 읽는 내내, 시를 해체하여 밑줄 긋고 이게 의미하는 것은, 주제는, 기법은 등등 알려주는 이가 필요한데. 그러면 우리는 동일하게 이해하고, 우격다짐으로 외우고, 이러이러하다로 정의할 건데. 얼마나 어리석은 공부였는지, 한 사람의 삶을 어떻게 한 줄로 정리하고 재단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이고 세월을 보냈다는 생각이 든다. 

어쩌면 시인이 말 한 '혁명은 안 되고 나는 방만 바꾸어 버렸다(144쪽)'를 줄곧 하고 있는 셈이다.  

10개의 주제 아래 장장 80편의 시는 읽는 이의 눈에서 멈춰 있는 게 태반이고, 간간히 입으로 내뱉어 보지만, 어렵다. 화가들의 그림들도 들어있는데, 이 또한 강렬하면서 어렵다.

그러나 문장을 곱씹어 읽고 그림을 자세히 보면 가슴까지 쓱 들어오는 뭔가가 있다.  

애정이 생기면서 공감에 이르기까지, 더 나아가 그 시대에 살았던 이들의 생이 가엽다는 마음으로 확장된다.

시인이 온 몸으로 외친 시어들이 작금에서도 울림을 주고 있으니, 폐허에도 눈은 내리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