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대지 세계문학의 숲 43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지음, 김윤진 옮김 / 시공사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지는 저 모든 책들보다 우리들에 관해 더 많은 것을 가르쳐준다. 그것은 대지가 우리에게 저항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장애와 맞서 겨룰 때 스스로를 발견한다. 허나, 그에 이르기 위해서는 도구가 필요하다. 대패가, 쟁기가 필요하다. 농부는 농사를 지우며 조금씩 자연으로부터 어떤 비밀들을 이끌어내는데. 그 진리는 우주적인 것이다. 마찬가지로 항공 노선의 도구인 비행기도 인간을 저 모든 오래된 문제들 속으로 던져 넣는다. (11쪽)

처음에는 기계가 인간을 자연의 커다란 문제들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더욱더 혹독하게 그 문제들에 종속시키고 만다. 폭풍우 치는 하늘이 만들어놓은 거대한 재판정에서 조종사는 자신의 비행기를 놓고 산, 바다, 폭우라는 세 자연의 신과 싸우는 것이다. (34-35쪽)

한 직업의 위대함이란 무엇보다 사람들을 연결시키는 데 있는 것이리라. 진정한 의미의 부는 오직 하나, 인간관계라는 부유함뿐이기 때문이다. (41쪽)

그는 사람이 일단 어떤 사건에 휘말리게 되면, 더 이상 그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오로지 미지의 것만이 인간을 두렵게 한다. 하지만 일단 맞닥뜨리고 나면, 그것은 더 이상 미지의 것이 아니다. 특히 그것을 명석한 신중함으로 관찰할 때는 더욱 그러하다. 기요메의 용기는 무엇보다 그 올곧음의 결과이다. (54쪽)

인간이라는 것, 그것은 바로 책임을 지는 것이다. 그것은 자신의 탓이 아닌 것처럼 보이는 비참함을 마주했을 때 부끄러움을 아는 것이다. 그것은 동료들이 거둔 승리를 자랑스럽게 여기는 것이다. 그것은 자기 몫의 돌을 놓으며 자신이 세상을 구축하는 데에 기여한다고 느끼는 것이다. (55쪽)

완벽함이란 더 이상 덧붙일 것이 없을 때가 아니라 더 이상 떼어낼 것이 없을 때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발전의 끝에 이르렀을 때 기계는 스스로 모습을 숨긴다. (60쪽)

그는 자유로웠으므로 기본적인 재산, 사랑받을 권리, 북쪽이나 남쪽으로 걷고, 노동으로 자신의 빵을 벌 권리가 있었다. 그러니 그깟 돈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우리가 강렬한 배고픔을 느끼듯이. 그는 사람들 틈에서의 한 사람이 될 필요를 느꼈고 사람들과 엮인 사람이 될 필요를 느꼈다. (123쪽)

나는 다시 생각한다. ‘우리가 질서를 지키며 살고 있는 이 세상은 우리가 그 안에 스스로 갇혀보지 않으면 가늠할 수 없다.‘ 나는 겨우 오늘에서야 사형수에게 주어지는 담배와 한 잔의 럼주를 이해한다. 나는 사형수가 그런 초라함을 받아들이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었다. 그렇지만 사형수는 그런 것에서 큰 기쁨을 얻는다. (162쪽)

우리의 밖에 위치한 공통된 목표로 형제들과 결합되었을 때, 그 때에야 비로소 우리는 숨을 쉰다. 그리고 경험은 우리에게 사랑한다는 것, 그것은 서로를 마주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둘이 함께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라는 것을 가르쳐준다. 같은 밧줄에 매여 같은 정상을 향하고 거기서 서로 만날 때에야 비로소 동료라고 할 수 있다. (195쪽)

인간에게 있어 진리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이다. (197쪽)

인간과 인간의 욕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본질을 통해 인간을 알기 위해서는 당신들이 가진 진리의 명증성을 대립시켜서는 안 된다. (198쪽)

왜 서로를 증오하는가? 우리는 같은 행성에 실려 가는 같은 배의 선원으로서 서로 굳게 결속되어 있다. (202쪽)

이와 같이 나무가 성장하는 것처럼 느리게 발전하며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지는 것, 그것은 생명이면서 또한 인식이기도 했다. 얼마나 신비로운 상승인가? (생략) 그 어머니는 생명만 전해준 것이 아니었다. 그녀는 아들들에게 언어를 가르쳤고, 수 세기가 흐르면서 서서히 축적된 짐, 그녀 자신이 받아서 보관했던 정신적 유산, 뉴턴이나 세익스피어와 동굴에 사는 짐승들과의 차이를 이루는 작은 몫의 전통들, 개념들, 신화들을 맡겼던 것이다. (20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