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과 반역의 갈래에서 - 어느 번역가의 인문이 담긴 영성 이야기
박규태 지음 / 새물결플러스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볼프 교수가 설교했던 조찬기도회처럼 우리나라에도 조찬기도회란 것이 있습니다. 특히 매년 한 번씩 대통령까지 초청하여 국가 조찬기도회란 것을 엽니다. 그러나 이 국가 조찬기도회 자리에서 볼프 교수처럼 참된 화해로 나아갈 길을 제시하며 국가 내부, 민족 내부의 갈등을 해결할 길을 선지자처럼 선포한 설교가 있었습니까? (39쪽)

히브리어 사전의 아버지라 불리는 빌헬름 게제니우스(1786-1842)는 옛날 프로이센 사람입니다. 그는 신학자였고 특히 고대 언어와 문화, 역사에 조예가 깊었습니다. 평생을 히브리어와 아람어 연구에 바쳐 이 방면에서 탁월한 업적을 많이 남겼죠. 그가 이런 연구 성과를 담아 1810년에 처음으로 내놓은 사전이 바로 위에서 말한 히브리어 사전입니다. 사전 이름이 길다 보니 보통 [게제니우스 사전]으로 많이 부릅니다. 이 사전은 원저자인 게제니우스가 세상을 떠난 뒤에도 유명한 학자들이 뒤를 이어 개정과 증보 작업을 계속 펼쳐나갔습니다. (112쪽)

정숙한 미녀라는 말은 일본의 유명한 수필가요 번역가이며 러시아어 통역가인 요네하라 마리(1950-2006)씨가 [미녀냐 추녀냐]에서 쓴 말입니다. 요네하라 씨는 원문에 충실하면서도 유려한 번역문을 담은 작품을 정숙한 미녀로 은유했습니다. 그는 말 그대로 정숙함과 미모를 모두 갖춘 여성처럼 번역 작품도 정숙함(원문에 충실함)과 미모(유려하고 정돈된 문장)을 모두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이 둘을 모두 갖추는 것은 어려우며, 그럴 때에는 정숙한 추녀(원문에는 충실하나 번역문은 엉망인 번역)보다 부정한 미녀(원문에는 좀 덜 충실하더라도 번역문만큼은 유려하고 정돈된 번역) 쪽을 선호하는 것이 낫다고 권면합니다. (153-154쪽)

제 짧은 번역 이력으로 무언가 도움말을 드린다는 것이 어불성설인 것은 알지만, 그래도 혹시나 하여 두가지만 말씀드렸습니다. 그 둘은 첫째, "번역은 해봐야 느는 만큼 번역을 많이 해보시라는 것", 그리고 둘째, "번역할 책을 찾아서 번역하려고 노력해보시라는 것"이었습니다. 실제로 얼마나 도움이 되는 말일지 모르겠습니다만, 그래도 번역을 하시려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봍탬이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225쪽)

그러나 라우 대통령은 "독일의 수도사"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따라 살려 했던 훌륭한 신앙인이었고(독일 개신교회 장로였습니다) "독일의 현자" 중 하나로 꼽힐 정도로 미래를 내다보며 약자를 돌보고 참된 화해를 몸소 실천해간 정치가였습니다. 그의 삶은 퍽 이채롭습니다. 그는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보통 태학에 진학하는 학생들이 많이 가는 9년제 인문 고등학교 김나지움을 나왔지만 대학에 진학하지 않았습니다. 그 대신 그는 출판사에 들어가 오랜 세월을 출판계에서 일했죠. 그러다가 예수 그리스도가 마태복음 5-7장에서 말슴하신 산상설교의 가르침을 정치 현장에서 그대로 이루어보려는 꿈을 안고 정치 일선에 뛰어듭니다. (233쪽)

라우 대통령은 독일 개신교회 장로였고 독일 개신교회가 2년마다 한 번씩 여는 교회대회의장을 여러 번 지냈습니다. 그런 그가 이 강론에서 말한 것은 국가 권력 역시 하나님의 종이라는 것, 국가 권력은 하나님의 가르침을 따라 선을 행하고 국민 전체가 안녕을 누리게 해야 한다는 것(특히 소수의 부자가 아니라 부자가 아닌 다수, 약자인 다수를 돌보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 국가의 국민 역시 국가가 이런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 그 책임은 개인이나 집단의 이익만 챙기는 이기주의가 아니라 공동체를 중시하는 행동으로 나타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의 이런 강론 요지는 그가 몸담은 독일 개신교회 역사에서 우러나온 것입니다.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가 집권했을 때, 독일 개신교회의 많은 목회자들과 신학자들은 히틀러를 메시아와 동일시한 거짓 복음에 동조했지만, 일부 신학자들과 목회자들은 이런 거짓 복음을 거부하고 투쟁했습니다. (237쪽)

종교개혁자들은 한 가지 좋은 해석 방법을 일러주었는데, 그것은 "성경에서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부분을 만나거든 성경에서 그 의미가 더 명확한 부분에 비추어 해석하라"는 것이었습니다. 이 가르침은 성경이 성경 자신을 충분히 설명하고 증명해준다는 믿음에서 나온 것인데, 이 믿음은 오늘날 우리가 성격을 읽고 해석할 때도 가져야 할 믿음이라고 생각합니다. (261쪽)

맥그라스 교수는 "누구나 성경을 읽고 해석할 수 있다"는 명제가 살아 숨 쉴 때 개신교회도 살아 움직인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오늘날 한국 교회는 "누구나 성경을 읽고 해석하지 않으니" 죽어 있는 셈입니다. (중략) 한국 교회가 살아날 길은 신자들이 깨어나 스스로 성경을 읽고 해석하는 길밖에 없습니다. 그것이 개신교 역사가 그리고 "누구나 성경을 읽고 해석할 수 있다"는 사상이 우리에게 주는 가르침입니다. (26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