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  손  지 

                                   -  김    관    식  -

 

          해  뜨면
          굴  속에서
          기어나와
          노닐고,

          매양  나물죽  한  보시기
          싸래기밥  두어  술
          고프면  먹고
          졸리면  자다

          남루를  벗어 
          바위에  빨아  널고
          발가벗은채  쪼그리고  앉아서
          등솔기에  햇살을  쪼이다

          해지면
          굴  안으로
          기어들어
          쉬나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  는  봄 

                                      -  柳        呈  -

 

        손  꼽아  세어  보면

        아아 !  내  혼자  사랑도

        여러  사연을  지니었고나.


                 소옥이

                   영이



        가는  봄  먼들에  피하여  와서

        문들레  노란  꽃  꽃니파리  뜯어



                  연순이

        푸른  푸른  하늘에 던지옵네



        나생이  하얀 꽃  꽃니파리  뜯어

                   정자

        낮바람  맞바람에 던지옵네.


                      立夏라니 그럼 봄은 간걸가,   유정 선생의 가는 봄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박      용      철  -

 

        비가  조록  조록  세염없이  나려와서 ... ...
        쉴  줄도  모르고  일도  없이  나려와서 ... ...
        나무를  지붕을  고만이  세워놓고  추겨준다 ... ...
        올라가는  기차소리도  가즉히  들리나니
        비에  흠추리  젖은  기차  모양은  애처롭겠지 ... ...
        내  마음에서도  심상치  않은  놈이  흔들려  나온다.

        비가  조록  조록  세염없이  흘려나려서 ... ...
        나는  비에  흠출  젖은  닭같이  네게로  달려가련다 ... ...
        물  건네는  한줄기  배암같이  곧장  기어가련다 ... ...
        검고  붉은  제비는  매끄럼이  날아가는것을 ... ...
        나의  마음은  반득이는  잎사귀보다  더  흔들리어 ... ...
        밝은  불  혀  놓고  그대의  방을  무연히  싸고  돈단다 ... ...

        나는  누를  향해  쓰길래  이런  하소를  하고  있단가 ... ...
        이러한  날엔  어느  강물  큰애기  하나  빠져도  자최도  아니  남을라 ... ...
        전에나  뒤에나  빗방울이  물낯을  튀길뿐이지 ... ...
        누가  울어보낸  눈물  아니고  섧기야  무어  설으리마는 ... ...
        저기  가는  나그네는  누구이길래  발자최에  물이  내다니 ... ...
        마음  있는듯  없는듯  공연한  비는  조록  조록  한결같이  나리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박용철(朴龍喆)  1904 ~ 1938  아호는  龍兒(용아)

    전남  광주군  송정리에서 출생
    배재고보를  거쳐  일본  동경 청산학원  중학부와  연전에  수업.
    1930년  정지용,  김영랑,  변영로,  이하윤,  정인보 등과 같이 [시문학]지를  창간  主宰하였고
    계속해서  [문예 월간],  [문학]誌 등을  발간  주재하여  해외문학을  우리나라 에  소개.
    1938년 肺患으로  永眠.  저서로는  작고후 간행된 [박용철전집] 2권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아이에  뻗어가야만  될거아니간

                                                                         -  金      宗      文  -

       

        덕산집두  싫구
        기와집두  싫구
        하꼬방이  데일  도터라
        이북엘  가문
        집이  없간
        허탕간이  없간
        빨갱이  놈들만  녹쳐디문
        난  아이예  뻗어가야만  될거  아니간

        난  베슬두  싫구
        감투두  싫구
        양키  장사가  데일  도터라
        이북엘  가문
        밥이  없간
        죽이  없간
        빨갱이  놈들만  녹처디문
        난  아이예  뻗어가야만  될거  아니간

        난  너인두  싫구
        성사두  싫구
        혼잣  몸  데이  데일  도터라
        클  클  할때문
        순이두  그려보구
        분이두  불러보구
        빨갱이  놈들만  녹처디문
        난  아이예  뻗어가야만  될거  아니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김종문  (1919년)  평남  출생.
              평양 숭실중학교 졸업.  일본 早大 佛文科 중퇴.  日大 英文科 중퇴.  아데네  후란세  졸업.
              [아데네]    [詩歌] 동인.  이 詩 쓸 당시 육군  대령.  시집   < 壁 >있음. 

        이런  시  요새  젊은이 들에게는 섬찍한  불은 문서  같을까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4-04-26 12: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적막 강산 

                                           -  백       석  -     

        

        오이밭에  벌배채  통이  지는  때는
        산에  오면  산  소리
        벌로  오면  벌  소리

        산에  오면
        큰솔밭에  뻐꾸기  소리
        잔솔밭엔  덜거기  소리

        벌로  오면
        논두렁에  물닭의  소리
        갈밭엔  갈새  소리

        산으로  오면  산이  들썩  산  소리  속에  나  홀로
        벌로  오면  벌이  들썩  벌  소리  속에  나  홀로

        定州  東林  九十여  里  긴긴  하로  길에
        산에  오면  산  소리  벌에  오면  벌  소리
        적막강산에  나는  있노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벌배 :  산야에 저절로  나는  야생  들배나무의  열매
  덜거기  :  늙은  장끼
  물닭  :  비오리, 오리과에  딸린  물새,  쇠오리와 비슷한데 좀 크고 부리는 뾰죽하며 날개는 자주색이 많아 오색이 찬란하다. 원앙처럼 암수가 함께 놀고, 주로 물가나 호숫가에서 물고기, 개구리, 곤충류 따위를 잡아먹음.

  白石(백석) 본명은 夔行(기행) 1912.7.1 평북 정주 출생
  1929년  /  오산학교 졸업 조선일보 장학생으로 일본 도꾜의 아오야마학원(靑山學院) 영문학 전공

 1934 년  /  조선일보 입사  1934년 <정주성>을 조선일보에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옴
 1936년  /  시집 <사슴>을 200부 한정판 발행 조선일보 기자생활 고만두고 함남 함흥 영생여고보  교원으로 전직
 1938년  /  교원직 사임. 서울로 옴.
 1939년  /  <여성>지 편집. 만주 신찡으로감 1941년  /  생계를  위하여  측량보조원,  측량서기,  소작인  생활함.
 1945년  /  일제  패망과  더불어  귀국,  신의주에  거주하다  고향  정주로  돌아옴.
                   분단이후 한국문학사에서  매몰됨
  1987년  서울  창작사에서  <백석시전집> 간행.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연엉가 2004-04-21 17:57   좋아요 0 | URL
수암님 들렸다 갑니다... 건강하시지요??

水巖 2004-04-21 20:20   좋아요 0 | URL
여러분들이 걱정해주시니 건강하게 잘 지내고 있읍니다. 고맙습니다.

ceylontea 2004-04-22 09:59   좋아요 0 | URL
*^^*

비로그인 2004-04-23 11:58   좋아요 0 | URL

                                                                 주 막 ( 酒 幕 )

       

              호박잎에 싸오는 붕어곰은 언제나 맛있었다

             

              부엌에는 빨갛게 질들은 팔(八)모알상이 그 상 위엔 새파란

            싸리를 그린 눈알만한 잔(盞)이 보였다

             

              아들 아이는 범이라고 장고기를 잘 잡는 앞니가 뻐드러진 나

            와 동갑이었다

             

              울파주 밖에는 장꾼들을 따라와서 엄지의 젖을 빠는 망아지도

            있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시인, 백석..

            할아버지께서 백석의 시를 올려주시니, 백석의 시가 한층 더 아름답게 느껴지는데요. ^^

            저도 백석의 시 중, 어떤 시를 한 편 할아버지와 함께 읊을까 고심하다, 짧지만 향토성 짙고 넉넉한 <주막>한 편 골라봤습니다. 할아버지께서도  애송하시는  시였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