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야의 종

                                                      - 공    중    인  -


             

              그  소리,  온  누리에  퍼질듯이
              연연  하늘에  닿아,  바다에  구비치듯이
              오 !  제야의  종아,  울어  울려라


              신음에  떠는  비극의  밤을  몰아내며
              부상입은  육체에  사는  내  영혼의  몸부림처럼
              세월의  아씨여,  너의  마지막  오열을
              내  시심에  비껴  가  없이  울려라
              은은히,  느리게,  그리고  머얼리 !


              갖은  초조와  절망과  비분과 ......... ,  이들은
              모다  너와  함께  떠나는  정다운  영원의  길손 !
              이  밤이  가기전에,  너와  나의
              마지막  이별을  위하여  영애야,
            「비창」의  곡을  들려다오 !

              이젠  것잡을 수  없는
              나의  흘러가는  사랑이여
              가고  오지  않는  별의  이름처럼
              내  가슴에  길이  새기리다


              ( 1957 년.  ............... 울고,
              전진하고,  허우적거리고 ........... .)


              오 !  울려라,  제야의  종,  이대로는
              갈 수 없어  정영  돌처럼  기다리던
              우리의  목마른  사연을  꽃 피우기  위하여
              예명의  기수를  맞어  울어,  울려라,  오 !
              너의  뜻이여,  너의  외침,  너에의  열망이여 !


              몇번이나,  공허한  내  가슴의  복판에
              허무는  눈보라처럼  휩쓸렸던가 !
              설음에  겨워,  멀미나는  나의  고달픈  울음을
              이제야  나의  귀는  듣고  있다
              오 !  나의  종소리 !
              새론  아침이  오면
              나의  양심의  괴로움을  해의  앞에  쬐우리 !
              그것은  너의  自我를 보다  크게  하리니 ........ .

              울려라 !   제야의  종.  열렬히 울어  울려라
              세월은 막을 수  없나니,  너두야   잘  가거라
              내일,  해가  솟으면
              옷을  갈아 입고  새론  노래를  마련하여
              바람처럼  가벼히  새 해의  신혼을  맞으리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水巖 2004-12-31 23:44   좋아요 0 | URL
어느해 신문에 난 제야의 시, 요사이는 그런 시가 잘 안 보이는것 같다.

그 시절의 시가 반 백년이 가차운데 왜 이렇게 가슴에 와 닿는지 모르겠다.
 

 

 

 

 

 

 

 


   껍데기는  가라

                                - 신   동   엽 -


  
껍데기는 가라.
사월도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껍데기는 가라.
동학년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살고
껍데기는 가라.

그리하여, 다시
껍데기는 가라.
이곳에선,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
아사달과 아사녀가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부끄럼 빛내며
맞절할지니

껍데기는 가라.
한라에서 백두까지
향그러운 흙가슴만 남고
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연 2004-12-21 08:40   좋아요 0 | URL
아..오랜만에 보는 신동엽 시인의 이 시. 퍼갈께요~^^

水巖 2004-12-21 08:46   좋아요 0 | URL
EBS의 문화사 시리즈 2편 '100인의 증언, 60년대 문화를 말 한다' 3부에 낭송되었지요. 다음날 올린다고 하다가 깜빡했어요.



 

                           어머님, 지금 계신 곳은


                                                                      -  조    병    화  -

            

              어머님, 어머님이 지금  계신  곳은
              어디  십니까

 
              정말,  그곳  저승엔  극락세계가  있고
              지옥의  세계가  있습니까

 
              날이  갈수록  요즘엔  그것이  궁금해집니다
              참말인지,  그저  하는  말인지
              그것을  알고  싶습니다

 

              이제  이  이승의  길  끝머리에서
              수시로  알고  싶은  것은
              이제부턴  어디로  가는지
              그  행선지이옵니다

 

              그  행선지,  그것은  모르나
              어머님이  어디에  계신지,  그것은  모르오나
              소원은  하나
              그저  아프지  않게  그곳  어머님  곁으로만
              갔으면  합니다

 

              이  세상  만가지  천가지
              만졌던  거,  버리기엔  아까운  거
              정들었던  사람,  다  버리고
              그저  훅,  어머님  곁으로만  갔으면  합니다

 

              어머님이  주신  노자로
              지금까지  인생을  참으로  후회  하나없이
              골고루  다  살었습니다
              이젠  얼마  남지  않은  노자
              그저  얼른  어머님  곁으로만  갔으면  합니다

 

              어머님,  정말  지금  어디에  계시옵니까
              사람들이  흔히들  말하는  그러한
              천당이다,  극락이다,  지옥이다,  하는
              곳이  있습니까.

 

           


 


                                           ( 1989. 12. 7 )


                                                      시집 - 후회없는  고독 - 에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4-12-06 11: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당신이 주신 눈물 다 쓰곤

                                                           - 조   병   화 -



             

              당신이  주신  눈물  다  쓰곤  돌아가겠습니다
              당신이  주신  눈물  다  흘리곤  돌아가겠습니다
              당신이  주신  눈물  다  말리곤  돌아가겠습니다
              제  몸에서  당신이  주신  눈물,  그  흔적
              말짱히  가시거든  돌아가겠습니다

 


              구름을  보아도,  하늘을  보아도
              노상  비켜  서서
              먼  산을  보아도
              노을을  보아도
              흐르는  개울,  나부끼는  풀바람을  보아도
              작은  벌레,  찌  찌  눈을  보아도
              혼자  나오는  눈물
              당신이  주신  눈물
              철없이  흘리는  눈물  죄송합니다

 


               한  번도  짙은  내  말  써  보지  못하고
               한  번도  짙은  내  얼굴  가지지  못하고
               한  번도  짙은  내  자리  세워  보지  못하고
               사람에게  보이지  않는  나를  사는
               나의  해와  달
               아직  남아  있는  눈물

 


              당신이  주신  눈물  다  쓰거든  가겠습니다
              당신이  주신  눈물  다  흘리거든  가겠습니다
              당신이  주신  눈물  다  마르거든  가겠습니다
              제  몸에서
              당신이  주신  눈물,  그  흔적
              말짱히  가시거든  가겠습니다
              당신  곁으로.


 

                                                                                 - 시집  [ 어머니 ] 에서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水巖 2004-12-05 14:08   좋아요 0 | URL
어머님 제사가 다가옵니다. 내일, 모래, 글피 ㅡ 경희의료원 어느 병실 지금 찾어가도 누워 계실것만 같은데 어언간 16년이 지났답니다.

sweetmagic 2004-12-05 16:21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안 그래도 다시 찾아볼까 하던 신데 ^^ 수암님이 이렇게 올려주셨네요 ^^

stella.K 2004-12-05 16:22   좋아요 0 | URL
그러셨군요. 많이 그리우시겠습니다. 저는 가끔 13년 전 작고하신 아버지가 그리워요. 평소 때 생각 안 할려고 노력하죠. 생각하면 슬퍼지니까...추천하고 가요.^^

水巖 2004-12-05 17:22   좋아요 0 | URL
매직님, 매직님도 무슨 날에요?(서재에 갔었는데...?)

스텔라님, 나는 가끔 생각합니다. 내가 죽으면 딸들이 슬퍼할까 하고요.

sweetmagic 2004-12-06 21:17   좋아요 0 | URL
제가 좋아하는 친구의 어머님 생신이었습니다 ^^
 

                             사랑의  변주곡


                                                              - 김   수   영 -



          욕망이여 입을 열어라 그 속에서 
사랑을 발견하겠다 都市의 끝에
사그러져가는 라디오의 재갈거리는 소리가
사랑처럼 들리고 그 소리가 지워지는
강이 흐르고 그 강건너에 사랑하는
암흑이 있고 三월을 바라보는 마른나무들이
사랑의 봉오리를 준비하고 그 봉오리의
속삼임이 안개처럼 이는 저쪽에 쪽빛
산이
사랑의 기차가 지나갈 때마다 우리들의
슬픔처럼 자라나고 도야지우리의 밥찌끼
같은 서울의 등불을 무시한다
이제 가시뱥 덩쿨장미의 기나긴 가시가지
까지도 사랑이다
왜 이렇게 벅차게 사랑의 숲은 밀려닥치느냐
사랑의 음식이 사랑이라는 것을 알 때까지
난로 위에 끓어오르는 주전자의 물이 아슬
아슬하게 넘지 않는 것처럼 사랑의 節度는
열렬하다
間斷도 사랑
이 방에서 저 방으로 할머니가 계신 방에서
심부름하는 놈이 있는 방까지 죽음같은
암흑 속을 고양이의 반짝거리는 푸른 눈망울처럼
사랑이 이어져가는 밤을 안다
그리고 이 사랑을 만드는 기술을 안다
눈을 떴다 감는 기술---불란서혁명의 기술
최근 우리들이 四.一九에서 배운 기술
그러나 이제 우리들은 소리내어 외치지 않는다
복사씨와 살구씨와 곶감씨의 아름다운 단단함이여
고요함과 사랑이 이루어놓은 暴風의 간악한
信念이여
봄베이도 뉴욕도 서울도 마찬가지다
信念보다도 더 큰
내가 묻혀사는 사랑의 위대한 도시에 비하면
너는 개미이냐
아들아 너에게 狂信을 가르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사랑을 알 때까지 자라라
人類의 종언의 날에
너의 술을 다 마시고 난 날에
美大陸에서 石油가 고갈되는 날에
그렇게 먼 날까지 가기 전에 너의 가슴에
새겨둘 말을 너는 都市의 疲勞에서
배울 거다
이 단단한 고요함을 배울 거다
복사씨가 사랑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가 하고
의심할 거다!
복사씨와 살구씨가
한번은 이렇게
사랑에 미쳐 날뛸 날이 올 거다!
그리고 그것은 아버지같은 잘못된 시간의
그릇된 冥想이 아닐 거다
 
      

                                                                                          <1967. 2. 15>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urblue 2004-11-29 00:54   좋아요 0 | URL
명동백작 보셨나봅니다. ^^

로드무비 2004-11-29 01:18   좋아요 0 | URL
수암님, 저도 오늘 명동백작 봤어요.

이 시 화면으로, 거기다 내레이션으로 읽으니 더 좋던데요?

水巖 2004-11-29 02:19   좋아요 0 | URL
이 시를 올리고 '명동백작'보고 몇마디 댓글 올렸는데 '댓글'은 날러가고 여지껏 문간에서 맴돌다가 이제야 들어와 지내요.

水巖 2010-01-23 15:43   좋아요 0 | URL
그래도 내가 아는 분들에 비해 어색하기만한 그들의 연기위로 여러분들 얼굴이 겹쳐 보이기도 하는군요. 공초 오상순선생, 시인 박인환, 김관식, 김수영, 그리고 이봉구씨들, 그리고 동방싸롱과 청동다방과 갈채다방과 돌체음악다방 하며 또 술집 '은성' 과 동방싸롱앞 선술집들도 보이고 또 명동의 어깨들, 그중에 한 사람, 총에 맞어 평생을 불구로 누워서 지내고 휠체어가 없으면 움직이지도 못하는 그 형도 생각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