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의 비밀 - 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
마이클 티어노 지음, 김윤철 옮김 / 아우라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를 보는 사람이 아닌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람에게 권하는 책!

   한창 《디 워》로 떠들썩할 때, 한 토론 프로그램에 출연한 진중권 교수가 아리스토텔레스를 언급하며 《디 워》를 비판한 적이 있었다. 내가 아는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저 철학자일 뿐인데, 그 철학자가 '플롯'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그래서 찾아봤더니, 그 책이 바로 『시학』이었다. 솔직히 나같은 사람에게는 아리스토텔레스 자체만으로도 어려운데, 『시학』은 제목만으로도 도저히 읽어볼 엄두가 나지 않는 책이었다.

   그런데 누군가 그 『시학』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한다. 게다가 이야기꾼이 되고자 한다면 읽어보라고 했다. 왠지 이 책을 읽고나면 평론가들이 영화를 평가할 때 흔히 언급하는 '플롯' 등의 용어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영화 《플레전트빌》의 작가이자 감독인 게리 로스는 『시학』을 "42페이지로 구성된 시나리오 쓰기에 관한 가장 간결하고 정확한 최고의 책"이라고 말했다.

   『시학』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용어는 '비극'이다. 여기서 말하는 '비극'이란, 슬픈 것이 아니라 '진지한 드라마'를 뜻한다. 이 비극에 관한 원칙들은 거의 모든 영화, 심지어 코미디 영화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모든 비극(극적인 이야기)은 갈등과 해결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은 비극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우리에게 잘 알려진 영화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사실 영화란 보는 이들이 즐겁게 보고, 무언가 느낄 수 있다면 된다고 생각했다. 평론가들처럼 그렇게 따져가며 볼 필요가 있겠나 싶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나니 평론가들이 왜 그렇게 조목조목 따졌는지를 알 것 같다. 그동안 영화를 보면서 스토리는 재밌는 것 같은데 왜 억지스럽다는 생각이 들었는지, 말로 설명할 수는 없는 부족함이 무엇이었는지를 알게 됐다.

   영화를 보다보면 감독이 직접 시나리오를 쓴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그래서 시나리오를 쓴다는 것은 생각보다 쉬울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나니 시나리오는 아무나 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됐다. 그저 재밌는 이야기만으로는 쓸 수 없는 것이 시나리오다.

   사실 내가 기대했던 책은 이런 내용이 아니었다. 친절하게도 옮긴이는 마지막에 이렇게 쓰고 있다. "나는 영화나 TV 드라마의 대본을 쓰고 그것을 연출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을 한 권 쓰고자 하는 소망을 지니고 있다." (p235) 그렇다. 이 책은 책이나 영화를 즐겨 보는 사람보다는 시나리오를 쓰는 사람에게 더 도움이 되는 책이다. 분명 김윤철 감독도 "이야기꾼이 되고자 하는 당신"에게 추천한다고 했는데, 그 이야기꾼의 의미를 이제서야 알겠다.

 

2008/11/23 by 뒷북소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