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랄한 라라
마광수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한권의 책이 도착했다. 투명한 비닐로 싸여진 책, 그리고 19세 이상만 구입 가능하다는 빨간색 스티커가 붙여져 있다. 난 왜 이렇게 뒷북만 치는지 모르겠다. 그 경고(!) 문구를 그제서야 본 것이다. 책을 고를 때 봤더라면, 그 선택이 달라졌을까?

   사실 지금까지 많은 책들을 읽어왔지만, 19세 이상만 볼 수 있다는 책은 딱 한 권 뿐이었다. 바로 무라카미 류의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멋진 제목 때문에 도전한 책이었지만, 그 후 누군가 내게 하루키를 이야기하면 난 류를 이야기했다.

   첫번째 만남이 기대 이상이었기 때문에 진작에 알았더라도 난 이 책을 선택했을 것이다. 게다가 그동안 명성만 들어왔던 마광수 교수의 단편들을 모아놓은 소설집이 아닌가. '즐거운 사라'는 모르지만, '발랄한 라라'는 알고 싶었다.

   『발랄한 라라』는 마광수 교수가 1966년부터 2006년까지 쓴 서른편의 단편들을 엮은 것이다. 어떻게 서른편의 단편들을 한권으로 묶을 수 있지? 이런 의문을 던지는 사람도 분명 있을 것이다. 그의 단편은 원고지 20매 내외의 아주 짧은 이야기도 있고, 100매 분량의 긴 이야기도 있기 때문이다.

   이 서른편의 짧고 긴 단편들을 읽으면서 한가지를 발견했다. 그의 작품들이 금기시 될만큼 야하게 느껴졌던 이유는 내용의 문제가 아니라 표현의 문제였다는 것이다. 이 정도의 이야기는 연애 소설에서도 읽을 수 있고, 영화에서도 볼 수 있다. 문제는 표현, 그러니까 단어 선택에 있다. 여느 작가들은 우리가 차마 입에 올리기 힘들어하는 단어들을 영어로 표현하며 고상을 떤다. 그런데 그는 그 단어들을 스스럼없이 내뿜는다. 아마 나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자에 속할 것이다. 솔직히 읽으면서 거북스러웠던 부분이 여럿 있었으니까.

   그가 서른편의 단편들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하나다. 성(姓)적 자유 혹은 그것을 표현하는 자유다. 재밌고 즐거운 이야기라면, 한가지 주제로 통일한 것도 괜찮으리라. 일단 이야기는 재미가 생명이니까. 그런데 이 작품들은 재밌지도, 즐겁지도 않다. 오히려 거북스러운 점이 더 많았다고나 할까.

   그는 왜 이토록 한가지 주제를 반복해서 쓰는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비난이리라. 나처럼 고상 떠는 독자 혹은 작가들을 향한 비난 말이다. 누가 뭐라고 해도 자신은 쓴다고. 사실은 궁금하면서, 말하고 싶으면서도 주위를 의식해 책 한권 읽는 것도 눈치보는 우리와는 다르다고 끊임없이 외치고 있는게 아닐까.

   그래도 거북한 건 여전하다. 그 거북함을 무릅쓰고 읽을 수 있을만큼 주제면에서 좀 더 발전한 그녀를 만나고 싶다. 사라, 로라, 라라... 다음의 그녀는 어떤 이름일까.



08-100.『발랄한 라라』 2008/10/05 by 뒷북소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