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패턴 - 루스 베네딕트 서거 60주년 기념, 새롭게 탄생한 문화인류학의 고전
루스 베네딕트 지음, 이종인 옮김 / 연암서가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그녀의 이름을 처음 들은 건 그녀의 삶을 담은 『루스 베네딕트』라는 책을 통해서였다. 일본의 문화를 분석한 『국화와 칼』은 너무나도 유명하기에 알고 있었지만 읽지는 않았기 때문에 저자가 어떤 사람이라는 것은 알지 못했다. 『국화와 칼』의 저자가 한번도 일본을 가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는 사실이 놀라웠다. 『국화와 칼』보다 먼저 나온 『문화의 패턴』, 과연 그녀는 문화를 어떤 식으로 연구했을까?

   무언가를 패턴화(化) 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꼽을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문화를 패턴화 한다는 것은 결코 간단한 작업이 아니다. 과연 이렇게 다양한 문화도 패턴화 할 수 있을까? 
   그녀는 전체가 단순히 부분들의 총합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그 부분들이 어떻게 배치되고 상호 작용을 하느냐에 따라 전혀 새로운 실체가 생겨날 수도 있기 때문에 아무리 작은 것이라고 해도 간단히 무시하고 넘길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많은 인류학 연구자들은 부분들을 잘못 조합해 엉뚱한 결과물을 내놓는다. 
   과연 그녀의 연구는 어떠할까? 그녀는 서구 문명은 너무 복잡하여 연구하기가 어렵다(p.100)고 솔직히 고백하고 있다.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서양 세계를 어느 하나의 특징만으로 해석하려는 것은 혼란만 낳을 뿐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서양 문화의 연구는 포기해야 하는 것일까? 그녀는 원시부족들로 눈을 돌렸다. 단순한 문화의 객관적 사실들은 복잡한 사회에서는 파악하기 까다롭고 잘 증명되지 않는 사회적 사실들을 아주 분명하게 보여준다(p.101)고 한다. 특히 원시부족 사람들을 연구함으로써 전통적 관습의 영향 아래 개인의 습관이 형성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단다.(p.102) 그녀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많은 부족들을 모두 조사할 수 없기 때문에 범위를 좁혀서 단 세 부족, 뉴멕시코의 푸엘블로 부족, 도부 족, 아메리카 북서 해안의 콰키우틀 부족의 문화만 연구했다. 
   뉴멕시코의 푸에블로 부족은 '우리'를 최고로 여기는 부족이다. 그들에게 개개인은 중요하지 않다. 반대로 콰키우틀 부족은 '나 자신'이 최고다. 나 자신을 위해서라면 다른 사람들은 전혀 중요치 않다. 또 악의와 배신을 미덕으로 여기는 도부 족은 무조건 남의 탓만 한다. 그녀가 연구한 이 세 부족들은 전혀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극단적으로 다른 문화 속에서 그녀는 어떤 패턴을 찾아냈을까? 그녀의 결론을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사회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서로 관용해야 한다(p.403)는 것이다.
   사실 그녀의 연구가 완벽하다고는 할 수 없다. 그녀도 다양한 문화 속에서 일부 부족들의 특정 관습들을 뽑아냈기 때문에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저질렀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하지만 그녀의 이야기는 문화 인류학이라는 낯선 학문에 다가가기에는 충분히 호기심을 자극한다.

2008/09/07 by 뒷북소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