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서
한호택 지음 / 달과소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들의 연서는 어디에?
   백제 무왕과 신라 선화공주의 신분과 국경을 초월한 러브 스토리는 드라마 《서동요》를 통해 이미 잘 알려져 있으리라 생각한다. 물론 나처럼 드라마를 보지 않은 사람도 다른 경로를 통해 한번쯤은 접해 보았을 것이다. 

"무왕의 사랑과 투쟁
꺼져가는 제국의 불꽃을 되살린 정인의 나라인 적국 신라와의 숨 가쁜 외교전
식민지였던 일본의 아스카정권과 고대 동북아의 제국 백제" ─ 책 표지글

   책 표지에 적혀있는 소개글이다. 무왕의 탄생 비화부터 그가 선화공주를 만나 사랑을 얻을 때까지의 이야기를 다룬다 해도 한 권으로는 부족하다. 게다가 신라와의 외교전과 일본의 아스카정권까지 다루고 있단다. 
   열 권으로도 부족할 것 같은 이 방대한 이야기들을 작가는 어떻게 한 권으로 압축시켜 놓았을까? 그러자면 당연히 사건의 전개가 빠를 수 밖에 없다. 사건의 전개를 따라 술술 읽다보니 어느새 결말을 향해 달려가고 있었다. 

   이 작품에서 한가지 눈에 띄는 것은 무왕과 선화공주가 만나게 되는 곳이 신라가 아닌 왜라는 것, 그리고 그 유명한 〈서동요〉를 무왕이 아닌 선화공주가 만들어 퍼트린다는 것이다. 
   작가는 이미 잘 알려진 일화에 상상력을 발휘하는 모험을 했다. 그 모험은 신선하다는 평을 이끌어 낼 수도 있지만 역사 소설의 매력을 스스로 잠식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역사 소설의 매력이라면 역사적인 사실과 허구의 경계에서 독자들이 방황하게끔 만드는 것인데, 작가는 완전히 그 경계를 넘어섰다. 이쯤되면 역사 소설이라는 이름표는 떼고 읽게 된다.

   『연서』는 서동요를 모티브로 쓴 것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독자들은 당연히 무왕과 선화공주의 러브 스토리를 기대할 것이며, 그 사랑의 속삭임을 옮겨적은 연애편지를 엿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게 된다. 나 또한 그런 기대를 품었다. 하지만 이야기가 반 이상 진행되고 나서야 선화공주가 모습을 드러냈고, 그들은 편지 따위는 주고 받지 않았다. 이야기 전체를 본다면 러브 스토리가 아니라 아비 없이 태어난 무왕이 자라면서 사랑을 얻고 신분을 되찾게 되는 인생 스토리에 더 가깝다.
   작가가 처음 모티브로 잡은 서동요에만 충실했다면 이런 우를 범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작가는 한 권의 책에 너무 많은 이야기를 담으려 했다. 뼈대만 있고 살점은 없는 이야기라고나 할까? 그가 하고자 했던 모든 이야기를 살점까지 충분히 담아내려면 열 권으로도 부족할 것이다.

   그는 이미 다수의 책을 펴낸 작가지만 순수소설은 처음이라고 한다. 아마 처음이었기에 욕심을 부렸을 것이고, 욕심을 부리다보니 그의 말처럼 원하는 것을 잊었을 것이다. 그의 두번째 소설에서는 살점이 듬뿍 담긴 이야기를 기대해 본다.

   
 

"사람들은 원하는 것을 잊었다.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기억하지도 못하면서 사람들은 싸우고 있다. 오랜 세월 싸우는 동안 싸움 자체가 목적이 됐다. 싸움에 이기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망상이다. 꽃을 꺾어 꽃을 얻을 수 없고 새를 잡아 새소리를 누릴 수 없다. 장아, 사람 사이에 문제가 생기면 먼저 그가 원하는 것을 떠올리게 해라. 그가 꽃을 원하면 꽃밭으로 데려가고 새소리를 원하면 새를 잡지 않고도 새와 더불어 살 수 있음을 깨닫게 해라. 내 생각대로만 하려해서는 안 된다. 상대방의 말을 따라서만도 안 된다. 해결책은 늘 네 생각과 상대의 생각을 가로지르는 사선에 있다. " (p.150)

 
   

2008/08/24 by 뒷북소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