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 - 정혜윤이 만난 매혹적인 독서가들
정혜윤 지음 / 푸른숲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휴가 일정이 잡히고 책에서 본 곳으로 휴가지를 잡고 짐 싸는 일만 남았다. 어떤 책을 가져갈까. 현장 독서를 위해 『혼자일 때 그곳에 간다』를 가져갈까? 아니다. 책에 등장하는 그곳은 겨울이었고, 지금은 여름이다.
결국 시원한 물 속에 발 담그고 졸졸 흐르는 물 소리를 배경음악 삼아 소금강에서 읽은 책은 『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였다. 왠지 그녀의 책은 침대에서 읽어야 할 것 같았지만, 이렇게 자연에 파묻혀 작은 전등 하나 켜놓고 희미한 불빛 아래서 읽는 것도 나름 운치가 있어 좋았다.

『침대와 책』에서 자신의 독서기를 이야기했던 그녀가 이번에는 매혹적인 독서가들을 만나 그들의 독서기를 들려준다. 책과 가장 친해 보이는 작가들은 물론이고 쉽게 들을 수 없었던 영화감독 임순례, 배우 문소리의 독서기까지 만나볼 수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즐거움은 '책 속의 책'을 찾아보는 즐거움일 것이다. 앞서 『침대와 책』에서도 나는 그녀가 소개한 책들을 읽어보며 그녀의 감정을 함께 공유하려 애썼다. 이번 책도 마찬가지다. 내가 읽은 책을 만나기라도 하면 여간 반가운게 아니었다. 같은 텍스트를 읽고도 나는 아무것도 읽어내지 못했고 아무런 변화도 생기지 않았는데, 그들에게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도 신기했다. 아마 그들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아직까지 읽지 못한 책들은 찾아볼지도 모른다.

그저 그들의 이야기를 서술한 것이었다면 지루했을지도 모른다. 그녀는 인터뷰 형식을 빌려 끊임없이 그들의 독서기에 개입하고 있다. 덕분에 한 권의 책을 두고 적어도 두 사람─인터뷰를 하는 사람과 당하는 사람─의 생각을 엿볼 수 있어 재미있다. 만약 내가 읽은 책이라면 세 사람이 될테지만.
솔직히 그녀의 독서기가 부러울 따름이다. 자신이 읽은 책을 이렇게 책으로 엮어 내는 것도 신기하고, 그때의 그 감정들을 기억하고 있는 것도 놀랍다. 안타깝게도 내게는 결정적인 영향을 준 책도 없고, 만약 있었다 하더라도 아직까지 기억하고 있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가끔씩 이런 질문을 받을 때면 어떻게 대답을 해야할지 고민스럽다. 물론 그 고민의 끝에는 적당한 답이 없다는 것도 고민이다. 마치 「바벨의 도서관」처럼 나만의 한권의 책을 찾으러 끊임없이 헤맬지도 모르겠다.

   
  '도서관'의 모든 사람들처럼 나는 젊은 시절 여행을 했다. 나는 한 권의 책, 아니 아마 책 목록에 대한 목록을 찾아 방황을 했다.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바벨의 도서관」(p.21)

책은 견디기 힘든 시간들을 지나게 해줘요. ─ 문소리 (p.235)
 
   

2008/08/03 by 뒷북소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