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라벌 사람들
심윤경 지음 / 실천문학사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아쉽게도 나는 우리 문학을 자주 읽지도 않을 뿐더러 쉽게 읽지도 못한다. 덕분에 즐겨 읽는 우리 작가가 있을리 없다. 심윤경은 『나의 아름다운 정원』이라는 한 편의 소설을 통해 나에게 강한 인상을 준 작가이다. 고작 한 편이었지만 심윤경이라는 이름 세 글자에 무조건적인 믿음을 가지게 되었다. 『서라벌 사람들』은 그녀의 네번째 작품으로 서람벌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한 다섯 편의 연작소설로 구성되어 있다.

「연제태후」는 지증왕의 비이자 법흥황제의 모후다. 양물이 한자 다섯치(궁금해서 찾아보았더니 한자는 30cm, 한치는 1/10자=3cm란다. 환산하면 45cm)나 됐던 지증왕은 배필을 구할 수가 없었다. 혼처를 구하던 한 신하가 어마어마한 크기의 똥을 눈 처녀를 데리고 온다. 그야말로 커다란 양물만큼 덩치가 컸던 지증왕에게 딱 어울리는 처녀였다. 지증왕이 죽고 보위에 오른 법흥황제는 모후인 연제태후와 갈등을 겪는다. 연제태후는 중국의 문물과 불교를 받아들이는 것에 반대했지만 법흥황제는 신하들의 복색을 바꾸고 은근슬쩍 이차돈도 가까이했다. 연제태후는 왕이 곧 신이요, 그 왕이 다스리는 나라가 바로 신국인데 왜 스스로 신에서 인간이 되려고 하냐고 질타한다.

「준랑의 혼인」에서는 두 화랑이 등장한다. 혼인을 앞둔 준랑은 자신의 스승인 영랑과 함께 길을 나선다. 산길을 오르내리며 그동안 쌓였던 이야기를 풀어 놓으면서 서로를 향한 마음을 확인한다. 한편 준랑의 처가 될 애혜낭주는 신나게 처녀파티(!)를 즐긴다. 주령구(주사위) 놀이를 하며 벌칙으로 술을 마시고 노래도 하고 옷도 벗긴다. 동성을 향해 애틋한 마음을 품었던 낭도들을 남편으로 둔 아내와 예비 신부는 그들만의 유흥으로 그것을 풀어버린다.

「변신」에서는 성골을 향한 진골의 컴플렉스를 엿볼 수 있다. 최초로 진골 출신 왕이 된 김춘추, 그는 자신의 출신성분에 대한 컴플렉스를 가지고 있었다. 자고로 성골은 지증왕처럼 거인족이었다. 성골들은 그들의 고귀한 혈통을 지키기 위해 성골들끼리의 혼인만 허락되어졌고, 세대가 거듭될수록 성골들의 수는 급격히 줄어들어 급기야 선덕황제에 이르러서는 결혼상대가 없게 되었다. 오래전부터 선덕황제를 가까이서 본 김춘추는 백성들이 선덕황제에게 보내는 이상한 믿음을 부러워했다. 선덕황제를 너무나도 사모한 천골 지귀는 불로 화하기도 했다. 김춘추는 성골처럼 거인이 되기 위해 먹고, 먹고, 또 먹으며 변신을 꾀한다.

「혜성가」에서는 서라벌 사람들의 성에 대한 가치관을 엿볼 수 있다. 그들은 남녀간의 합례를 신성한 의식으로 여겼고, 그 신성한 의식으로 어려움에 처한 나라까지 구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 이야기에서는 이런 전통을 지키려는 신궁과 새로운 종교로 급부상하고 있는 불교가 서로 대립한다. 혜성이 나타나자 불길한 징조라 여긴 사람들은 합례 의식을 치르고, 절 앞에서 그런 불경한 짓을 저지르는 사람들에 대항해 승려들은 염불을 왼다. 그러나 재밌게도 불길한 징조가 사라지자 왕은 승려들에게 하사품을 내린다.

「천관사」는 이승에서 못다 이룬 김유신과 천관녀의 한을 풀어주기 위해 그의 동생 흠순공이 절을 지으려 한다. 그러나 그에게는 절을 지을만큼의 충분한 재산이 없었다. 그는 불교의 대중화를 이끈 후 조용히 수도를 시작한 원효대사를 찾아가 도움을 요청한다. 이에 원효대사가 전국 순회법회를 돌며 그의 장기인 머리에 바가지 쓰고 팽이 돌리기를 하며 절을 지을 자금을 모금한다. 여기서 원효대사의 팽이 돌리기는 비보이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서라벌 사람들』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불교를 국교로 받아들이려 했던 법흥왕과 순교로 기여한 이차돈, 불교의 대중화에 앞장섰던 원효대사, 선덕여왕과 그녀를 사모했던 지귀, 최초의 진골 출신 왕이 되었던 김춘추와 그의 처남 김유신의 이야기들은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이다. 이 익숙한 이야기에 심윤경의 상상력이 보태어져 생각지도 못했던 재미를 선사한다.
그녀의 이야기에는 그 시대를 바라보는 정확한 눈이 존재한다. 『나의 아름다운 정원』에서 그녀는 제대로 말할 수도, 쓸 수도 없었던 군부 체제 하의 상황을 '난독증'으로 풀어냈다. 마찬가지로 이 작품에서도 당시 시대 상황을 아주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다.
『나의 아름다운 정원』이 아픈 성장 소설이었다면, 『서라벌 사람들』은 엽기 발랄한 소설이다.

2008/07/06 by 뒷북소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앨리스 2008-07-07 17: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땡스 투~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