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는 방법 -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 리딩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김효순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얼마나 읽으세요?"
이런 질문에는 얼마든지 당당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질문에는 약해질 수 밖에 없다.
"이 책 읽었어요? 내용은 어떤가요?"
내가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물었기 때문이 아니다. 분명 읽었음에도 머리 속은 하얗다. 그 책을 읽었을 때의 느낌은 커녕 간단한 줄거리조차 생각나지 않는다. 다행히 어떤 이들은 내가 너무 많은 책을 읽었기 때문에 그런 것일거라며 착하게 웃으며 넘어가 준다.
너무 책에게 끌려가는 내가 싫었고 지쳐버렸다. 과연 나는 제대로 된 독서를 하고 있는 것일까 회의감마저 들었다. 그래서 요즘에는 정말 읽고 싶을 때만, 읽고 싶은 책들만 천천히 읽고 있다. 그러면서도 은근히 불안한 것은 사실이다. 읽을 책들이 얼마나 많은데 과연 내가 이런 식으로 읽다가는 그 책들을 모두 읽어낼 수 있을까? 책장 여기저기에 쌓여있는 읽지 않는 책들을 보며 또다시 가속도가 붙기 시작한다. 마지막 책장에 가까워질수록 최고조에 달한다. 책을 읽고 있는 순간에도 왜 이리 불안할까? 책을 전혀 읽지 않는 사람들은 몇 곱절이나 많은데.

히라노 게이치로의 독서법을 소개한 책이 나왔다는 것은 진작에 알고 있었다. 그러나 손이 가질 않았다. 그의 작품은 한권도 읽지 않았으면서 그의 독서법만 엿본다는 것이 좀 웃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 내가 시도하고 있는 천천히 읽기에 대해 그도 할말이 있단다. 그렇다면 그는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한번 들어봐야 하지 않을까?
그는 속독법의 허점을 파헤치며 한 권이라도 괜찮으니 제대로 읽으라고 말하고 있다. 자기 자신은 책을 빨리 읽지 못한다, 자신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작가들이 그렇다고 한다. 직업적인 이유로 많은 책들을 읽어야 하는 그들이 왜 책을 빨리 읽지 못하는 것일까? 그것은 그들이 그 책을 쓴 작가의 입장이 되어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고 문장 하나, 단어 하나까지 곱씹어 읽기 때문이란다. 제대로 이해되지 않으며 다시 앞페이지로 넘겨서 읽어보고, 기억나지 않으면 다시 꺼내서 읽어 본다는 것이다. 그들의 이해력이 부족해서일까? 아니면 기억력이 좋지 않아서일까? 물론 둘 다 아니다. 기억력이 좋지 않은 것은 그들뿐만이 아니라 원래 인간의 뇌가 그런 것이다.
시험 보기 전날, 밤새 공부한 친구보다 공부하다가 깜박 잠이 든 친구가 성적이 더 잘 나오는 경우가 있다. 우리 뇌는 어느 정도의 잠을 자야 머리 속에 축적된 것을 저장한다고 한다. 또 한번에 축적할 수 있는 양이 생각보다 적어서 한꺼번에 많은 양을 집어 넣는다고 해도 모두 기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란다. 그러니까 밤새 책을 읽는 것보다는 천천히 시간을 두고 읽는 것이 기억하는데 유리하다는 말이다.

예전에 다치바나 다카시의 독서법을 읽은 적이 있다. 그는 엄청난 다독가로, 경우에 따라서는 속독도 하고 통독도 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자신의 책을 쓰기 위해 자료 조사 차원에서 방대한 양의 책을 읽었다. 그의 독서량은 실로 놀라웠지만, 솔직히 따라하고픈 마음은 들지 않았다. 그의 독서법은 나같은 평범한 사람들이 굳이 따라할 필요가 없는 것이었다.
반면 히라노 게이치로의 독서법은 나같은 사람이라도 비법을 전수받고픈 생각이 들 정도로 유용한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그 비법을 전수해 주고 있다. 뜬구름 잡듯이가 아니라 구체적인 예문까지 들어가며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마치 국어 선생님처럼.

그는 나에게 천천히 읽기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해 주었고, 그 비법까지 알려주었다. 이제 내가 실천하는 일 밖에 남지 않았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만화책을 읽을 때는 이 독서법을 실천하고 있다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이 5권을 읽을 때 겨우 1권 밖에 읽지 못할 정도로 천천히 읽는다. 나는 천천히 읽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었던 것이다. 어쩌면 빨리 읽는 것은 책 좀 읽는다는 자만에서 우러나온 것인지도 모르겠다. 내게 익숙하지 않은 만화책은 그토록 음미하며 읽으면서 익숙한 책은 빨리 읽으니 말이다.
머지않아 문장의 참맛을 느낄 날이 오리라 믿는다.

이건 여담인데, 책에 실린 그의 소개를 보고 나와 생일이 같다는 것을 알았다. 어쨌든 반가운 일이다. 내가 태어난 날 소사가 하나 더 있었던 것이다. 그가 실천편의 예문으로 삼은 『장송』을 조만간 읽어봐야겠다. 나랑 생일도 같은데.

2008/07/04 by 뒷북소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