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녀문의 비밀 -상 - 백탑파白塔派 그 두 번째 이야기 백탑파 시리즈 3
김탁환 지음 / 황금가지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1.
백탑파, 그 첫번째 이야기인 『방각본 살인 사건』에서 활약한 스무살의 이명방이 스물여섯이 되었다.
신분의 벽 때문에 출사하지 못한 백탑 서생들 중에서 간서치 이덕무가 처음으로 적성현의 현감 벼슬을 얻어 부임하게 된다. 정조는 열녀문을 내려 달라는 소가 빗발치자 이명방에게 거짓 열녀를 찾아내라고 하명한다. 이명방은 이덕무와 함게 적성현으로 내려가, 그 고을에서 올린 열녀 김아영에 대해 조사하기 시작한다.
김아영은 부부연을 맺은지 얼마되지 않아 남편과 사별하게 된다. 남편을 잃은 슬픔에 빠져있던 그녀는 2년동안 열심히 일해서 기울어 가던 시댁의 살림을 일으킨 다음 목을 매달고 자결하게 된다. 그녀는 행동이 방정했을 뿐만이 아니라 학문에도 능했기 때문에 열녀문을 내리기에는 완벽했다. 그러나 이명방과 화광 김진은 그런 완벽함이 의심스러웠다.
 
『열녀문의 비밀』은 연암 박지원의 「열녀함양박씨전」을 모티브로 쓴 것으로, 전편에서와 마찬가지로 고문(古文)과 금문(今文)에 대한 고민을 제기하고 있다. 고문과 금문에 대한 고민은 단순히 문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그것을 따르는 사람과 사상에가지 확대된다. 고문을 따르는 사람들은 흔히 보수 세력이라 불리는 기존의 기득권 세력이다. 금문을 따르는 사람들은 백탑파 서생들을 위시한 새로운 사상, 실학이나 서학을 전파하려는 개혁가들이다. 개혁가들은 개혁군주라 믿었던 정조가 『열하일기』의 문체를 경계하자 자신들마저 경계하려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게 된다. 그리고 아직 자신들이 나설 때가 아님을 한탄한다.
 
2.
김탁환은 소설 속 박지원의 입을 빌려 다음과 같이 말한다.  
 

"고문도 한때는 금문(今文)이었음을 잊어서는 아니 되네." (『열녀문의 비밀(上)』, p45)

 

그렇다. 지금 우리가 고전(고문)이라 부르며 읽고 있는 것들도 그것이 쓰여진 당시에는 금문(今文, 지금의)이었다. 그리고 박지원의 『열하일기』처럼 금문(禁文, 금지된)이었던 것들도 있다. 그러나 작가가 간과한 것이 하나 있다. 모든 금문(今文, 지금의)이 고문(고전)으로 남는 것은 아니다. 금문이 고문이 되기 위해서는 세월의 심판을 받아야 하는 것이다. 당시 유행하던 수많은 글들 중에서 유독 박지원의 『열하일기』가 고문(고전)으로 읽혀지는 것은 그 세월과 싸워 이겼기 때문이다. 정조 또한 그렇게 말하고 있다.

작가가 이런 오류를 범하면서도 한결같이 이야기하고 있는 『열하일기』가 궁금해진다.

 

3.

「열녀함양박씨전」은 저자 박지원이 안의현감으로 지내면서 쓴 한문단편소설이다. 그는 이 소설을 통해 '열'을 높히 사기 위함이 아니라 '열' 때문에 자신을 버려야 하는 폐단을 말하고자 하였다.

 

「열녀함양박씨전」의 줄거리

통인 박상효의 조카딸인 박씨는 대대로 현리를 지낸 하찮은 집안의 딸로 태어나 일찍 부모를 여의고 어릴 때부터 조부모의 슬하에서 자랐는데, 효도가 극진하였다. 19세에 함양의 아전 임술증에게 시집갔으나, 술증이 본디 병이 있어 성례한 지 반년이 못 되어 죽었다. 박씨는 예를 다하여 초상을 치른 뒤 며느리의 도를 다하여 시부모를 섬기다가 남편의 대상 날에 약을 먹고 죽었다. 박씨는 정혼한 뒤 술중의 병이 깊음을 알았으나 성혼을 하였으며, 초례를 치렀을 뿐 끝내 빈 옷만 지킨 셈이었다. 작가는 박씨가 젊은 과부로서 오래 이 세상에 머문다면 친척들의 연민을 받고 또 이웃사람들의 망령된 생각도 면하지 못할 것이라 하여 상기가 끝날 때를 기다려 지아비가 죽은 그 날 그 시각에 죽음으로써 그 처음의 뜻을 이룬 점을 기리고 있다.

 

2007/11/12 by 뒷북소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