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깊은 나무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래전 우연히 그의 데뷔작인 『천년후에』를 읽은 후 계속 만나게 되는 작가, 이정명. 그의 데뷔작에는 그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단서가 없다. 단지 국문학을 전공했으며 어느날 출판사로 날라온 원고를 출간했다는 글 밖에 없다. 어떤 작가일까, 참 궁금했었는데 지금은 그의 이름을 베스트셀러 작가 대열에서 확인할 수 있어서 참 반갑다.

 

항상 그의 작품을 읽으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그의 무한한 상상력에는 감탄을 하지 않을 수가 없다. 보통 역사소설을 읽다보면 팩트(fact)와 픽션(fiction)의 경계에서 허우적대곤 하는데 그의 작품은 확실하게 '픽션'이라는 금이 그어져 있다. 그러나 역사적인 사실에서 느낄 수 있는 그 웅장한 감동이 완전히 배제된 것도 아니다. 분명 픽션이지만, 그것의 팩트가 전하고자 하는 것을 확실하게 전하고 있다.

 

우리는 세종대왕이 어떤 마음으로, 그리고 어떻게 한글을 창제하셨는지를 잘 알고 있다. 『뿌리 깊은 나무』는 우리가 막연하게 알고 있던 백성을 사랑하는 왕의 어진 마음을 구체화시켜 전달해 준다. 그냥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한글을 창제하셨다고 하면 와닿지가 않는다. 그러나 『뿌리 깊은 나무』를 읽다보면 왕의 그 마음이 고스란히 전달되어 가슴 깊은 곳부터 찡해져 오면서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났다.

왕은 밤잠을 설쳐가며 백성들을 아끼는 마음으로  백성들의 글을 만들고자 했는데, 정작 그들은 그 글을 업신여기고 '언문'이라 격하시켜 불렀다.

 

지금의 우리도 별반 다르지 않다. 대화를 할 때마다 그럴싸하게 외국어와 외래어를 섞어가며 말하고 있다. 소위 오피니언 리더라고 불리는 사람들도 매체에 나와 그런 식으로 이야기를 한다. 인터넷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은 편의를 위해서 짧게 줄여서 사용하고 있다. 어디를 가나 예쁜 우리말이 적힌 것보다는 외국어로 된 간판을 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또 때로는 언뜻 뜻을 알기 어려운 우리말보다는 그런 간판들이 더 쉽게 다가오기도 한다.

 

너무 많아서 평생을 공부해도 다 읽을 수가 없는 한자와는 달리, 며칠이면 금새 읽고 쓸 수 있는 언어. 그렇지만 우리 입으로 나오는 소리는 무엇이든지 표현할 수 있는 언어, 백성들을 사랑하는 왕의 마음이 잔뜩 묻어있는 언어, 그런 언어를 아끼고 바르게 사용하지 못하는 우리들이 참 부끄럽다.

TV에서 혹은 국어시간에 '바르고 고운 우리말을 사용하자'는 말을 몇 백번을 들어도 쉽게 와닿지 않았던 것들인데, 『뿌리 깊은 나무』를 읽고 나면 저절로 부끄러움에 고개를 숙이게 된다.

 

2007/10/28 by 뒷북소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