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내가 그를 처음 만난 것은 인간 이순신을 다룬 『칼의 노래』를 통해서였다. 대통령이 청소년들에게 추천해주고픈 책으로 꼽으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던 책이었지만, 나는 그 책에 대해서 별다른 마음의 동요를 얻지 못했다.
무엇 때문이었을까. 그때는 몰랐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그 이유를 알 것도 같다. 당시까지만 해도 영웅을 뛰어넘어 성웅으로 추앙받던 이순신 장군을 그의 소설 속에서는 단순히 인간 이순신으로 그려내고 있었다. 박정희 전대통령의 성웅화 사업이 너무 익숙해져 있었던 탓인지, 인간 이순신이 그대로 받아들여지지가 않았다.
그와의 첫만남이 그다지 좋지 않았기 때문에, 아무리 주변에서 그의 작품에 대한 칭찬을 늘어놓아도 그의 책들이 쉽게 잡히지가 않았다.

『남한산성』, 인조의 삼전도 굴욕 사건을 다룬 이 작품에는 역사소설이라면 으레 등장하는 영웅도 승자도 없다.
명을 버리고 청을 택하라는 칸의 요구에 대의명분을 꺾지 않았던 조선의 왕실은 서울을 지키기 위해 서울을 버리고 강화도로 향하지만, 왕과 세자는 남한산성으로 발길을 돌릴 수 밖에 없었다. 남한산성으로 들어올 수도, 남한산성에서 나갈 수도 없게 된 청과 조선은 남한산성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게 된다.
말이 대치지 이렇다할 큰 싸움은 없었다. 성 안에서는 매일을 발전도 없는 갑론을박을 벌이며 버티고 있었으며 성 밖에서는 제 풀에 지쳐 뛰쳐 나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과 청의 '전쟁'이라는 긴장되고 박진감 넘치는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이야기는 별다른 사건없이 천천히 흘러간다.
영웅이 등장해 큰 싸움을 벌인다거나 이순신처럼 어마어마한 적과 맞서 이긴 승자도 없다. 그저 '전쟁' 속에서도 하루하루를 버티며 살아가는 백성들이 있고, 적보다는 배고픔이 더 무서운 백성들이 있다. 적과 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서도 입으로만 싸우는 한심한 신하들이 있고, 신하들의 말 한마디에 이리저리 쫓겨다니는 왕만이 있을 뿐이다.

그런데 마음 한구석이 자꾸 아려왔다.
그동안 힘없고 못난 왕이라고만 생각해왔던 인조의 '어쩔 수 없음'이 느껴져 안타까웠다. 자신의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 청의 군대를 안내할 수 밖에 없는 뱃사공을 죽인 예조판서 김상헌의 아픔이 느껴져서 눈물이 치솟았다. 나라가 이 지경인데도 명에 대한 대의명분만 내세우고, 서로 상대방을 헐뜯는 신하들의 어리석음이 답답했다. 앞으로의 죽음보다는 눈 앞의 배고픔이 더 걱정인 백성들의 생활고가 안타까웠다.

그의 작품에는 영웅도 승자도 없었지만, 사람들의 삶과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특히 그동안 왕이나 영웅 위주로 묘사되어 있어서 알 수 없었던 백성들의 모습을 엿볼 수 있어서 유익했다. 김훈, 첫인상은 좋지 않았지만 앞으로 두고두고 그의 작품을 만나보고 싶다.

마지막으로 영웅과 승자가 등장하는 역사만이 우리 역사가 아니다. 아프고 피하고 싶은 역사도 우리 역사다. 앞으로 『남한산성』과 같은 작품들을 자주 접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1)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김훈이 "남한산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11-05 02:20 
    남한산성 - 김훈 지음/학고재 2007년 10월 31일 읽은 책이다. 올해 내가 읽을 책목록으로 11월에 읽으려고 했던 책이었다. 재미가 있어서 빨리 읽게 되어 11월이 아닌 10월에 다 보게 되었다. 총평 김훈이라는 작가의 기존 저서에서 흐르는 공통적인 면을 생각한다면 다분히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작가는 매우 냉정한 어조로 상황을 그려나가고 있다. 소설이기에 작가의 상상력이 개입이 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읽었음에도 주전파..
 
 
코니히 2007-08-05 17: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김훈의 인터뷰 기사를 보면 전형적인 국익우선론자, 경제지상주의에 치중된 세계관을 지녔더군요. 안티 페미니즘을 공공감연하게 주장하기도하고. 용감한건지 무모한건지..80년대의 인기작가였던 이문열이 은밀하게 주장했던 소영웅주의비판이나, 정치적 허무주의 조장과 일치하는면이 있는듯 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