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의 사랑법
박상영 지음 / 창비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릿하고 쫄깃한 우럭의 맛. 어쩌면, 우주의 맛!

2019년 젊은 작가상 수상작인 「우럭 한점 우주의 맛」을 포함해 「재희」, 「대도시의 사랑법」, 「늦은 우기의 바캉스」 등 총 네 편의 연작소설이 실려 있는 박상영 작가의 두 번째 소설집이다.

네 편의 연작소설에는 닮은 듯 다른 듯한 화자, '영'이 등장한다. 현재 '영'은 30대 초반의 작가로 대도시 서울에 거주하고 있으며, 네 편의 연작소설 모두 그의 연애사를 다루고 있다.

스무살의 여름, '영'은 '재희'와 급속도로 가까워졌다. '영'이 남자와 키스하고 있는 것을 「재희」에게 들켜버렸기 때문인데, 재희는 처음 본 순간부터 눈치채고 있었다고 한다. 그 덕분에 '영'과 재희는 동성 친구처럼 지냈고, 심지어 동거까지 하게 됐다. 나중에 재희의 예비 남편이 알게 됐지만, 결혼이 깨지지는 않았다. 아무튼 재희는 헤테로였으니까.

'영'은 군대에 가기 전에 연상의 공무원을 만났는데, 그 공무원의 성생활이 문란해 병을 얻게 된다. 그 때문에 6개월만에 의병 제대를 하게 됐지만 '영'은 자신의 병에게 '카일리'라는 애칭을 붙여준다. 약을 매일 챙겨 먹으면 괜찮다고는 하지만, 이 '카일리' 때문에 자유 연애를 하던 그의 행동에도 약간의 제약이 생겼다.

한때 그는 띠동갑의 편집자를 만난 적이 있었다. '영'은 그를 진짜 사랑했다고 말했다. 어머니가 투병 중일 때 만난 사람이었는데, 그는 독특한 철학을 가진 사람이었다. 「우럭 한점 우주의 맛」은 그가 들려준 이야기였다.

ㅡ 당신이 지금 먹고 있는 게 뭐라고 생각하세요?

ㅡ 광어죠. 아니, 우럭인가? 제가 사실 생선을 잘 구별 못해요. 그냥 비싼 건 다 맛있더라구요.

ㅡ 맞고 틀려요. 당신이 맛보고 있는 건 우럭, 그러나 그것은 비단 우럭의 맛이 아닙니다. 혀끝에 감도는 건 우주의 맛이기도 해요.

ㅡ 네? 그게 무슨 (개떡 같은) 말씀이신지……

ㅡ 우리가 먹는 우럭도, 우리 자신도 모두 우주의 일부잖아요. 그러니까 우주가 우주를 맛보는 과정인 거죠. 「우럭 한점 우주의 맛」, 105쪽

그 다음에 만난 '규호'에게는 '카일리'에 대한 이야기를 솔직하게 털어 놓는다. 하지만 규호는 전혀 개의치 않는다고 했다. 당시 규호는 의대생인 형의 생활을 돌봐주며 '유설희 간호학원'에서 간호조무사 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영'을 만나기 위해 인천에서 서울까지 그 먼 길을 오고갔다. 제주도가 고향인 규호는 육지, 그것도 '대도시'에서 살아보고 싶었다고, 그곳에서 사랑도 해보고 싶었다고 한다.

그러니까 사실 나, 네가 엄청 필요해 규호야…… 나는 자꾸만 흐려지는 창밖의 풍경을 바라보며 서울로, 내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대도시로 향했다. 「대도시의 사랑법」 251쪽

이 책을 덮자마자 가장 먼저 '유설희 간호학원'을 검색해 봤다. "인천 하면 유설희지."라고 했던 규호의 목소리가 맴돌았기 때문인데, 인천 사람들은 다 안다는 그 곳이 실제로 존재하는 곳이었다니. 대구에서 태어난 작가가 어떻게 알았을까? 인천에서 학창시절을 보냈던 것일까? 이런 쓸데없는 궁금증도 생겼다. 인천 하면 인천 앞바다에 뜬 사이다 아닌가.

규호를 떠나보낸 서른두살의 '영'은 10월 말, 「늦은 우기의 바캉스」를 가게 된다. 그곳은 1년 전 규호와 함께 왔던 곳으로, 규호와 함께 머물렀던 방에 채팅방에서 우연히 매칭된 한 외국 남자와 함께 묶는다. 그곳에서 규호를 떠올린다. 한때 자신에게 소원이었던 그 이름, '규호'를.

낯설다. 그들의 사랑이 낯설었던 건 아니다. 가장 최근에도 『항구의 사랑』을 통해 접했었으니까. 내가 낯설었던 것은 박상영 작가의 문장들이었다. 예전에는 그렇지 않았는데, 요즘에는 부쩍 읽는 나보다 작가들의 문장들이 더 젊다는 생각이 든다. 게다가 '2019년 젊은 작가상' 수상작이니 오죽할까.

더 낯설었던 건 강지희가 쓴 「해설:멜랑콜리 퀴어 지리학」이었다. 해설에 사용된 용어들을 보며, 이 이해할 수 없는 용어들만큼 동떨어진 사람이었다는 것을 느꼈다.

소설에서 규호의 공간이 '제주(섬)'에서 '인천'을 거쳐 '서울'로 그리고 '상해'로 점차 넓어지는 반면, 화자의 공간은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다는 것은 중요하다. 퀴어의 성적 자유는 '대도시' 속에서 더 자유롭게 탐색될 수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왔지만, 유독 병리화되는 특정 질병과 연결된 퀴어에게 도시의 경계선은 더 강력한 제약과 통제로 작동한다. 그래서 결국 화자의 공간으로 남는 곳은 대도시 속의 공항이다. 상해로 넘어가지 못한 채 홀로 공항철도를 타고 돌아오는 그의 쓸쓸한 모습은 소설 서두에서 만료된 여권 때문에 일본 여행을 가지 못하고 홀로 돌아오던 모습과 겹쳐진다. 카일리를 가진 그에게 자유로운 이동이 보장될 수 없다는 사실은 그의 여권(시민권)이 언제나 반쪽짜리일 수밖에 없을 것임을 상기시킨다. 그리고 그 절반의 시민권이 지금 한국에서 퀴어 정치가 지닌 한계를 반영한다는 사실 역시 자명해 보인다. 「해설:멜랑콜리 퀴어 지리학」, 329~33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