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일의 역사사랑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 사랑방 이야기

 

맨처음 『이덕일의 역사사랑』이라는 제목을 보면서 '그래, 이덕일 그 정도라면 역사를 사랑한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겠지'라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첫장을 넘기면서 제목에 등장하는 '사랑'이 '愛'가 아니라 '舍廊'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손님도 옥희와 함께 다정하게 계란을 먹었던 그 '사랑'방. 그곳은 지나가는 객도 편하게 머물 수 있었던 곳이며, 동네 사람들이 모여서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던 정이 오고 가는 그런 곳이다.

그가 제목을 '역사사랑'이라고 했던 이유가 바로 '사랑'이라는 것이 지니고 있는 그런 특징들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동안 그가 펴낸 책들이 한가지 주제를 놓고 그만의 관점으로 깊이 파고드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면, 이번에 펴낸 『이덕일의 역사사랑』에서는 우리 역사에 대해서 부담없이 이런저런 이야기들을 쏟아내고 있다.

 

 

# 짧지만 가볍지 않은 이야기들

 

'지조와 절개의 외길을 걷다', '대륙에서 한민족의 기상을 찾다', '시간의 날줄과 사람의 씨줄', '민중과 함께 하는 역사 혹은 생활의 발견', '해양을 향한 상상력 혹은 일본이라는 나라', '세계사의 들판에서 우리 역사의 좌표를 찾다' 등 6가지 소주제로 나누어진 이 책은 각각의 소주제에 맞는 짧은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동안 우리가 미처 깨닫지 못했던 사실들을 접할 수 있는 멋진 기회가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보다 깊게 파고들 수 없는 아쉬움이 남았다. 그리고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여 이야기를 풀이하고 있는 그의 글을 읽으면서 역사를 사랑하는 그의 생각과 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사실 과거와 현재를 연결한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내가 살지 못한 과거를 알아야 하고, 또 내가 살고 있는 현재를 정확하게 바라보는 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역사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는 관심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가 그동안 얼마나 우리 역사를 모르고 있었던가를 알게 되었다. 오히려 우리나라를 넘보고 있던 일본이나 중국에서 우리 역사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고 있었으며, 우리는 시대착오적인 사대주의에 빠져 우리의 역사를 왜곡하고 사장하고 있었다. 중국의 사마천은 『사기』를 완성하기 위해 궁형에 처해지는 수모를 감당해냈다. 비록 사마천과 같은 수모를 감당할 수는 없더라도, 적어도 우리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것이 최소한의 예의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 관심 이상의 반성이 필요하다

 

군더더기 같지만 에피소드 하나를 덧붙이자면, 얼마전 어떤 이들이 동북공정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을 듣게 되었다. 그들이 어느만큼 동북공정에 대해 알고 있을까, 하는 생각에 그들이 하는 이야기를 가만히 듣고 있던 나는 그만 화를 내고 말았다. 동북공정을 통해 북한을 자기네들 땅으로 편입시키려한다는 중국의 야욕을 이야기하면서, 마지막에 이런 말을 덧붙였기 때문이다. 만약 중국이 우리나라를 상대로 전쟁을 일으킨다면 바로 미국으로 이민갈거라고, 또 아들을 가지면 원정 출산해서 자기 아들은 절대로 군대에 보내지 않을거라고 했다.

비록 우리 역사에 대해 관심은 있지만, '앎'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옛날 우리 선조들은 '지행일치'를 얼마나 중히 여겼던가. 아는만큼 보인다고, 아는만큼 실천할 줄 아는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

 

 

<밑줄긋기>

 

물고기 세 마리가 유유히 헤엄치는 <삼여도三餘圖>는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왕랑王朗」조의 기록에 근거한 그림이다. 어떤 사람이 홍농弘農직에 있던 동우董遇에게 시간이 없어서 독서를 못한다고 말하자 독서에는 '1년의 나머지(餘)인 겨울, 하루의 나머지인 밤, 맑은 날의 나머지인 흐리고 비 오는 날'의 세 여가(三餘)만 있으면 충분하다'고 답했다는 것으로, 겉과는 달리 학문을 재촉하는 그림이다. (p. 342~3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