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부마을 이야기 1
제임스 캐넌 지음, 이경아 옮김 / 뿔(웅진)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마을을 지키는 치안판사와 경사가 있기는 하지만 그들이 하는 일이라곤 고작 술집에서 취객들 간에 벌어지는 실랑이를 말리는 것뿐이다. 하루 종일 문을 열어 놓아도 도둑 한번 들지 않는 평화로운 마을 마리키타에 반란군들이 들어 닥친다. 워낙 평화로운 생활을 해왔던 마을 사람들은 반란군들에게 전혀 협조를 하지 않는다. 이에 화가 난 반란군들은 마을에 있는 남자들을 죽이고 12세 이상의 소년들을 끌고 간다.

하루 아침에 사랑하는 남편과 아들을 잃어버린 여자들은 실의에 빠진다. 남자들이 사라진 마리키타에는 1년 넘도록 소득이 없었으며, 소득이 없는 마을의 쓰레기를 치우러 오는 사람도 없고, 수확도 없었다. 마리키타의 여자들은 쓰레기가 넘치는 더러운 곳에서 굶주림과 헐벗음에 고통 받고 있었다.

반란군에 맞서다가 총에 맞아 죽은 경사의 아내 로살바가 더 이상 두고 볼 수가 없어 마리키타의 신임 치안판사가 되어 마리키타를 일으키기 시작한다. 그녀는 마을을 일으키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들을 정하고, 필요한 사람들을 뽑아서 일거리를 준다. 그리고 그녀들만의 독특하고 새로운 규칙들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지금껏 남자들에게만 의지하며 살아왔던 그녀들에게 그녀들만의 마을을 만든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만은 아니다. 할 일들은 정해 놓았으나 남자들만큼 추진력이나 행동력이 강하지 않아 주저 앉을 때도 있다. 그러나 그녀들은 정부에 구호를 요청한다거나 이웃 마을의 남자들을 데려 오지는 않는다.


책 속에는 남자들이 사라진 마을의 이야기와 남자들만 있는 게릴라 부대의 이야기가 교차시키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여자들은 그녀들만의 세계를 건설해 새로운 삶을 살고자 하지만, 남자들은 다른 사람들의 삶을 파괴해가며 그것을 빼앗으려고 한다. 아주 잔혹하게 말이다.


공산주의 게릴라들이 어느 두 산간 마을의 남자들을 끌고 갔다는 콜롬비아 신문의 기사를 보고 그 후의 두 마을의 삶이 궁금해져서 이 이야기를 썼다는 작가 제임스 캐넌. 표지에 몇 줄 적힌 그의 이력을 보면서 그가 어떤 사람일까 한번 생각해보게 된다. 이름을 보면 분명 남자인데, 어떻게 이런 이야기를 쓸 수 있었을까.


책을 덮으면서 얼마 전 아침 드라마에서 본 산부인과 여의사의 대사가 떠올랐다. 만약 남자가 출산을 짊어지게 됐다면 지금처럼 배 아파가며 아이를 낳는 일은 절대 없을거라며, 주사 한방이면 고통없이 낳을 수 있는 방법이 벌써 개발 됐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