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철학 스케치 1 - 이야기로 만나는 교양의 세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지음 / 풀빛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무엇 때문인지는 잘 모르겠다. 학창시절, 철학이라는 학문과 친해질 기회가 적었기 때문에 철학과 멀어지게 된 것인지, 아니면 철학이라는 학문이 내게 따분하기만 한 학문이었기 때문에 애써 친해지려고 노력을 하지 않은 것인지 모르겠다.

여하튼 나는 ‘철학’이라는 학문과는 그다지 친하지도 않으며, 애써 친해지려는 노력조차 하지 않았다. 오지랖이 미어 터지도록 여기저기에 많은 호기심을 보이는 내가 유독 ‘철학’이라는 것에는 왜 그리도 매정하게 대했는지.

그러나 살다보면 ‘철학’이라는 것, 굳이 필요는 없지만 모르면 답답할 때가 있다. ‘철학’이라는 것이 얼마나 다양한 곳에 걸쳐져 있는지 ‘철학’이라는 것을 짚고 넘어가지 않으면 명쾌한 답을 찾지 못할 때가 더러 생긴다. 그럴 때마다 이번에는 ‘철학’과 친해져봐야지, ‘철학’의 산을 넘고야 말겠다 다짐을 하지만 워낙 밑바탕으로 깔린 것이 없어서 이내 무릎을 꿇고야 만다.


한국 철학. 그래, 우리 것도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어떻게 남의 나라 철학을 이해할 수 있겠는가. 게다가 한국사라면 나도 자신이 있으니까, 한국 철학의 산부터 넘어보자.

이런 마음가짐으로 나는 한국 철학을 만나러 갔다.


‘철학’이라고 하면 뭔가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그러나 ‘철학’을 논할 때 그것이 발생하고 유행하게 된 시대적인 배경을 논하지 않을 수 없으며, 역사를 알면 그 시대의 철학도 보이게 마련이다.

1권에는 고조선의 건국 신화가 된 단군신화에서부터 삼국시대에는 호국 신앙으로, 고려시대에는 한 나라를 다스리는 통치 이념으로 작용했던 불교, 조선왕조를 흥하고 망하게 했던 성리학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2권에는 새로운 시대를 요구했던 실학 사상과 근대 사상들을 풀어 놓았다.

이 책은 청소년들이 보다 쉽게 한국철학에 접근하고 친해지길 원했던 저자들의 마음이 담긴 책이다. 덕분에 내용은 아주 이해하기 쉽다. 특히 1권은 마치 중고등학교 시절 국사책을 읽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교과서에 충실하다. 하지만 2권에서는 우리가 국사 시간에 자주 듣지 못했던 이야기와 그다지 비중이 크지 않았던 근대 사상들이 등장해서 새로운 사실들을 알아가는 재미가 솔솔했다.

특히 허균 선생님께서 남기신 말씀은 내가 이 두 권의 책을 읽으면서 얻은 가장 큰 수확이라고 할 수 있다.


‘남녀의 정욕은 하늘로부터 받은 것이고, 남녀가 나뉘는 윤리와 도덕은 성인의 가르침이다. 하늘이 성인보다 높으니 성인의 가르침을 어길지언정 감히 하늘이 준 사람의 본성을 어길 수 없다.’ - 허균 (1권, p. 2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