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들에게 길을 묻다 - 영상아포리즘 01
김판용 지음 / 예감출판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아포리즘이란 깊은 체험적 진리를 간결하고 압축된 형식으로 나타낸 짧은 글을 이르는 말이란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아포리즘인 히포크라테스의 “예술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말처럼, 아포리즘은 말하는 이의 독자적인 창작이 담긴 것이라고 한다. “영상아포리즘”이라는 말이 생소하게 다가왔다.

한두번 들어본 말이기는 하지만 정확하게 알지 못해서 책을 덮은 후에 찾아보았다. 아포리즘이라는 말을 찾아본 후에 책의 내용을 되짚어 보면서 비로소 고개를 끄덕이게 되었다.


그렇다. 이 책은 말 그대로 영상아포리즘이다. 무엇에 대한 아포리즘인가 하면, 바로 작가 자신의 삶과 우리의 일상에 대한 아포리즘이다.

그는 꽃으로 채워진 사진들을 통해 봄날이 가고, 여름이 오고, 가을이 가고, 겨울이 오는 사계절을 이야기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속에서 의미를 찾으려 하고 있다.

그는 지금은 효용 가치가 떨어진 시골 학교나 간이역을 앵글에 담으면서 우리들의 삶을 이야기 하고 있다.


아주 가벼운 책이지만, 책 속에 담겨져 있는 사진 하나 하나들이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많은 생각들을 하게끔 했다. 그리고 그동안 내가 찍어왔던 사진들을 꺼내어 보게끔 만들었다.

나는 무엇 때문에 그 많은 사진들을 찍었으며, 그 사진들을 통해 무엇을 보았는가. 사진들은 우리들이 놓친 풍경들을 잡아두는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앵글을 통해 바라본 풍경들은 새로운 의미들로 다가오기도 한다.


사진 속 꽃들은 정지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지금도 그 작은 꽃들은 비바람을 이겨내며 한송이 꽃을 피우기 위해 온힘을 다하며 살아가고 있다. 우리의 삶도 마찬가지이다. 비록 현재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미래를 향해 열심히 내달리고 있다.

가끔씩 내 삶이 정체되어 있는 것처럼 느껴질 때, 삶이 무료하고 우울하게 느껴질 때, 그럴때마다 꽃들에게 길을 물어봐야겠다.

“안녕, 나는 어디로 가야 꽃을 피울 수 있겠니?”


모든 생물들은 잉태하는 순간부터 목숨을 건다. 우리가 보는 꽃들은 모든 산모들이 자신의 목숨을 걸고 아이를 낳듯 그렇게 목숨을 걸고 핀다. 그냥 나무 안에서 쉬는 편안함을 버리고, 설레고 두려운 마음으로 꽃을 피우듯, 우리의 일상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냥 집과 직장만을 왔다갔다 하는 시계추 같은 삶이라면 고민이 없다. 그래서 반복된 일상에서 일탈은 용기가 필요한 것이다.

새해 아침에 해를 맞는다는 것은, 쏟아지는 잠을 이기고 아니면 눈길을 몇 시간씩 달려서 해돋이 명소에 자리를 잡는다는 것는 용기와 의지의 결과이다. 희망을 갖기 위해서는 남달라야 하고, 남다르기 위해서는 용감해야 한다. 결국 용기란 앞으로 나가기 위한 필수적인 에너지인 것이다. (p. 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