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의 계곡 엘릭시르 셜록 홈스 전집
아서 코난 도일 지음, 권도희 옮김 / 엘릭시르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달랑 4권뿐인 셜록 홈즈 장편의 마지막 권. 구조적으로 처녀작인 <주홍색 연구>와 같은 2중 구조를 가지지만, 내용적으로는 한결 발전된 모습을 보인다. 전반부의 트릭과 추론도, 후반부의 스토리텔링도 진일보하였다.

 

본작의 가장 큰 매력은 후반부의 매력적인 스토리인데, 마치 한편의 잘 빠진 하드보일드 소설을 읽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출간년도가 1914년이니 소위 하드보일드의 시조라는 해미트가 등장하기 한참전이라는 걸 감안하면 퍼즐러 뿐 아니라 하드보일드 역시 도일에게 상당부분 빚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흔히 도일 장편중 최상작으로 꼽히는 <바스카빌가의 사냥개>를 제쳐놓고 <공포의 계곡>을 최고로 꼽은 딕슨카 역시 이런 맥락이 아닐까 싶다. 현대 추리소설에서 많이 유행하는 서술트릭이 살짝 끼얹어 있는 것도 포인트.

 

도일 작풍의 특징 중 하나가 아무리 선정적이고 끔찍한 상황일지라도 품위있게 묘사한다는 것인데, 이작품이야말로 작가의 그러한 스타일이 잘 표현되어있다. 작품의 소재인 스카우러스는 살인, 강도, 폭력을 아무렇지않게 해치우는 극악무도한 범죄집단이지만, 도일은 특유의 절제된 유머를 동반한 점잖은 서술로 선정성을 최대한 자제하고 있다. 이렇게 말하면 긴장감 없고 시시한 작품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 도일 묘사의 현장감과 리얼리티는 장르문학 전체의 모범으로 삼아도 될 정도로 최상급이다.

 

일반 추리소설 형식인 전반부와 하드보일드 스타일인 후반부 모두 작가의 명성에 걸맞게 잘쓰여진 걸작으로 개인적으로 도일의 4권의 장편중 최고로 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스커레이드 이브 매스커레이드 시리즈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텔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찾아온다. 나오미는 새삼 생각했다. 그들은 가면을 쓰고 있다. 호텔맨은 결코 그 가면을 벗기려고 해서는 안된다.'

 

 엘리트 형사 닛타 고스케와 프로페셔널 호텔리어 나오미가 등장하는 메스커레이드 시리즈의 제2탄이다. 출간순서로는 두번째이긴 하나 작중 시간대는 전작 <<메스커레이드 호텔>>보다 오히려 앞선다.

 3편의 단편과 1편의 중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역시 표제작인 <메스커레이드 이브>가 가장 낫다. 전작보다 조금 쳐지지만, 히가시노의 이름값에 부끄럽지는 않은 작품.

 전작이 고전적인 '교환살인' 테마를 효과적으로 활용했다면, 본작은 <<삐리리 살인사건>>의 패턴을 나름 멋지게 소화하였다. 다만 독창성과 논리적 쾌감은 전작보다 부족한듯.

 

개인적으로 이 시리즈가 '가가형사 시리즈'나 '갈릴레오 시리즈'처럼 장수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변호 측 증인
고이즈미 기미코 지음, 권영주 옮김 / 검은숲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냥 무난하다. 마치오 슈스케의 극찬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관, 호러작가가 사는 집 미쓰다 신조 작가 시리즈 1
미쓰다 신조 지음, 김은모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이름값 있는 작가답게 글빨이 좋은편. 다만, 추리소설을 기대하는 독자라면 비추.
뒤표지의 ‘본격 미스터리와 호러가 멋지게 융합하는‘이라는 선전문구는 정말 어이가 없다. 이작품에서 정통추리소설적 요소는 아예 없다고 해도 좋을 정도임. 후반으로 갈수록 맥빠지는 전개와 모호한 결말도 불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백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18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비채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슷한 테마의 <악의 교전>이나, <그리고 숙청의 문을 열어>보다 글빨과 플롯의 정교함 면에서 앞선다. 다만, 추리소설로서의 재미는 좀 떨어지는 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