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근두근 우타코 씨
다나베 세이코 지음, 권남희.이학선 옮김 / 여성신문사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두근 두근' 가슴 콩닥이는 사랑의 느낌은 언제까지 가능할 것인가? 나는 이 책을 읽기 전 '한 평생 내내' 그럴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 난 지금 조금 다른 생각이다. 사랑이라는 것, 그것을 지금의 (아직 젊은) 나를 놓고 대입했던게 아닐까? 정말 백발노인에게 첫사랑과 같은 설레이는 사랑이 가능할까? 이 책은 나에게 일흔이 넘은 노인에게 사랑이라는 감정을 대입했을때 산출되는 값을 구하도록 했다. 솔직히, 이 책을 읽고나서 더 헷갈린다. 사랑은 일평생 가능할꺼야? 몸은 노쇄해도 마음은 소녀처럼 뜨거울꺼야 하고 막연히 생각해 왔다. 그런데 일흔 일곱의 우타코씨가 느끼는 사랑의 감정이 너무나도 불편했다는게 솔직한 심정이다. 그녀에게 어울리지 않는 감정같이 느껴졌다. 음.... 뭐랄까? 백발의 노인이 붉은 립스틱을 바른 채 거리를 활보하는 듯한 느낌이랄까?
솔직히 일흔일곱의 우타코씨가(더불어 그 또래의 늙은이들이) 섹스를 생각한다는 것은 내게는 엽기적이기까지 했다. 아니, 사랑의 감정으로 두근거리는 모습 또한 내게는 부자연스럽게 보여졌다. 내가 이리 느끼는 것은 무엇보다 우타코씨가 내게는 전혀 공감가지 않는 캐릭터였던 것 같다. 그녀는 그저 주책스러운 한 늙은 여자에 지나지 않았던 것 같다. 사실, 그녀가 일흔일곱이나 되는 노인이기에 소설 속 주인공이라고는 하지만 이처럼 말하는 것은 굉장히 버르장머리 없는 짓인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노년기 사랑을 다룬 이야기들은 이 소설이 처음은 아니다. 국내에서는 박진표 감독의 <죽어도 좋아(2002)> 라는 영화도 있었고 얼마 전 읽었던 김채원의 <미친 사랑의 노래>에서 쉰(쉰을 노년이라고 하긴 어렵지만 말이다)이 넘은 그녀들의 사랑이야기를 담고 있었다. 겨우 쉰을 넘긴 그녀들이었지만 그녀들의 사랑이 내게는 아주 생경한 느낌으로 다가왔던 것을 기억한다. 그러면서 '육신은 늙을지라도, 그네들에게 어울리지 않는 감정이라 할지라도 그들은 자신의 사랑을 잠재우고 살아갈 뿐 젊은 육신에게 깃들 법한 사랑이 가능할 것이다' 하고 결론이 내려졌는데 오~ 다시 혼란스럽다. 무려 일흔일곱의 할머니에게 사랑이라니. 섹스라니.... 오~ 진정코 이것을 받아들여야 하나요?
이 책을 처음 선택한 이유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미라는 영화의 원작자의 소설이라는 이유에서였다. 이 책은 내게 그리 마음에 들지는 않았다. 아니, 주제가 주는 생경함과 낯선 감정이 편하지 않게 읽힌 이유가 아닐까 싶다. 그러나 역시 다나베 세이코답다.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이라는 영화에서는 '장애'에 대해, 이 소설 <두근 두근 우타코씨>에서는 노년기의 사랑에 대해.... 외면당하고 소외당하기 쉬운 주제를 그의 따뜻하고 녹록한 감각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이런 것이 그의 화두다.
노년기의 사랑, 섹스.... 이런 것은 마치 청소년에게 부모님의 잠자리를 상상하라고 하는 것 만큼 어색했다. 왠지 나의 부모는 그런 끔찍한(?) 행위를 하지 않으리라 믿고 싶은 것처럼 내게도 그랬다. 노년기의 사랑이니, 섹스는 희뿌연 머리의 그들에게는 괜시리 존재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 드는 것은 왜일까? 나는 나의 할머니에게 "할머니, 할머니는 맘이 맞는 할아버지를 사랑할 수 있고 섹스할 수도 있어요?" 하고 물어볼 용기는 죽었다 깨어나도 없다, 없다.... 절대 그런 걸 물을 수는 없다, 나는. 모르겠다. 이렇게 노인들의 사랑을 배척하는 것이 나는 아직 젊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내가 늙어봐야 알겠지.
노년기의 사랑. 허리 구부정한 백발의 노인에게 사랑이 가능하리라는 것은 현실이 아닌 우리의 희망이 아닐까? 결코 사랑만은, 모든 것이 변한다 할지라도 오로지 사랑만은, 그것만은 본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이 세상 모든 가슴 위에 살아 있기를 바라는 우리의 희망이자 꿈이 아닐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