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왕 이야기 - 양장본
진 에드워드 지음, 허령 옮김 / 예수전도단 / 200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양장본의 두껍지 않은 책이었다.  이 책은 거울 같은 책이었다.  나는 그 거울 속에서 흉하게 일그러진 내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나는 사울인가?  다윗인가?  아니면 압살롬인가?  이 책은 말하고 있다.  '정답은 아무도 모르며 오로지 하나님만이 아신다'고.  부디, 나는 다윗이기를 바랄 뿐이다. 

  이 책은 권위와 야욕으로 똘똘뭉쳐 거칠 것 없는 자들에게 경고하고 있다.  그들을 지도자로 삼고 있는 자들에게도 동일한 경고를 하고 있다.  하나님의 기름 부으심을 받은 자들이라고 하여 모두 같지 않다는 것을.  그리고 선량하던 한 인간이 욕심과 야욕에 사로잡혀 악랄하게 일그러지는 모습도 보았다.  그리고 이 땅에 사울이 존재함 역시 하나님의 뜻이라는 것이다.  지금도, 어딘가에서 사울은 또 다른 사울을 깨뜨리기 위해 존재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내 옆의 그가 사울일 수도 있고, 내가 그 누군가에게 사울일 수도 있다.  이 책은 속사람을 볼 수 있는 시각을 일깨워 주는 책이었다.

  또한 진정한 권위는 무엇인지 절대적인 순종은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했다.  그러나 사울왕의 악행에 대한 다윗의 행동과 태도가 진실로 바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다.  정의가 아닌 것을 꾸짖고 흐트러진 것을 세우고 악행을 일삼는 자에게 옳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과정조차 생략하는 것이 진정 참된 것일까?  반항과 분란은 역시 반항과 분랑을 낳고 역사는 그렇게 거듭되어 왔다.  그러나, 그 일에서 나만 홀연히 빠져나와 귀머거리인냥 보지 못하는 사람인냥 처신하는 것이 옳을까?  나에게 창을 던지는 자의 창을 피하는 것만이 능사일까?  나는 다윗의 그런 모습이 수동적이고 피동적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물론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는 말이 있듯 어느 한 쪽이 바람 한 점 없는 호수가의 물같이 고요할 수 있다면, 그럴 수만 있다면 더 큰 파장은 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악행 앞에 반항과 저항을 하는 방식이 그저 '피하는 일' 이라면 꼭 그래야만 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역시 나는 아직 덜 깨어진 자임에 분명하다.

  물론 이 책의 포커스는 권위자의 압제에서부터 '피하라' 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진정 하나님께 기름 부으심을 받은 자는 자신의 야욕대로 행동하지 아니하고 경거망동하지 않으며 타인의 어떤 질타와 시기, 질투, 미움도 감내해내는 다윗을 조명하고 있다.  다윗은 말한다.  나와 같이 '그저 피하는 것이 능사인지요?' 하고 묻는 많은 사람들에게, 또 그의 사람들에게....  '사울과 같이 되니느보다는 차라리 죽음을 택하겠소' 하고 말이다.  그가 이렇게 각오할 수 있었던 것은 역시 하나님께서 불기둥과 구름기둥으로 지켜 보호하사 안위하실 것을 믿어 의심치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어찌보면 모든 것은 하나님의 의해, 하나님 손으로를 철저히 따르는 운명론자일지도 모르겠다.  이 또한 그의 충정한 믿음에서 비롯되는 것이겠지만 말이다.  역시 범상치 않은 왕이다.  그러기에 그는 진정코 위대한 왕이었으면 세세토록 칭찬받는 왕 일 것이다.  

  이 책은 한 시대의 왕으로 살다간 세 왕의 모습을 통해 참된 자신을 발견토록 하고 있다.  그리고 다윗이 그러하였듯 인내케 하고 힘든 시련과 고난 속에 있는 자들에게 '하나님은 당신을 아십니다' 하고 말하고 있다.   '내가 난데' 하는 권위의식을 진정 내려놓고 그 분의 뜻에 순복한 다윗의 모습을 본받을 것을 종용하고 있다.  과연 다윗은 참된 왕이자 하나님의 종이요, 인간이었다.  그런 모습을 흉내낼 수 조차 낼 수 없는 나로서는 온전히 내려놓음과 깨어짐을 소망하며 그 분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책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시편의 말씀은 참 은혜로왔다.  얼마만에 읽는 기독서적인지 모르겠다.  말씀 안에 살아 있는 그 분을 느끼며, 내 안에 살아 있는 그 분을 느끼며 예부터 지금까지 동일한 모습으로 사울에게, 다윗에게, 압살롬에게 부으셨던 그 사랑과 동일한 사랑을 내게도 쏟아붓는 그 분의 사랑에 감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