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사 2
한승원 지음 / 열림원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으며 다시금 생각하게 되는 것이지만 나는 과연 역사 속 인물들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주마간산식으로 아는 것도 과연 아는 것이라 할 수 있을까? 안다는 것은 무엇일까? 이름이 귀익고 무엇 한 사람인지 들은 적이 있다는 것만으로 안다고 할 수 있을까? 그러자면, 나는 그를 몰랐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름은 김정희, 호는 추사, 명필가. 이게 내가 그에 대해 알고 있는 전부였다.
이 책을 읽은 이유는 추사 김정희에 관한 소설이기 때문이 50이고 한승원씨의 작품이기 때문이 50이었다. 이 책은 기대만큼이나 김정희와 한승원을 동시에 만날 수 있는 책이 아니었나 싶다. 역시나 아름다운 언어들.... 분명 한승원은 추사가 글을 쓰듯 글을 지었을 것이다.
추사. 그가 쓰고자 했던 板殿(판전:널빤지 판, 큰집 전)이라는 글자. 그는 글자를 쓰기 위해 거의 강박에 가까운 스트레스를 받는 듯 했다. 문 앞에 적어 붙인 '입춘대길' 이라는 글만 보고도 천재라는 인정을 받았던 그가 아닌다. 솔직히 '명색이 명필가인데 어렵사니 써야하지 않나?’하고 생각했던 것도 잠시. 이것은 무엇일까? 그가 명필가이기에 그가 글자의 천재이기에 망설임없이 고민없이 휙휙 갈겨쓰지 않았다는 것이다. 가장 자신 있는 부분을 그토록 고심하며 어렵사리 하는 것을 보고 참 많이 놀랐다. 하물며 '대가' 라는 이도 이러한데 나는 어떠한가? '내 이는 쉬 할 수 있지’하고 생각해버리는 것은 그 어떤 다른 것들보다 오랜 고민 없이 해치워 버리지는 않았는가 말이다.
참 섧게 살다간 추사. 아버지를 아버지라 하지 못하고 어머니를 어머니라 하지 못했던 삶들이 얼마나 쓸쓸했을까. 그들 또한 추사를 조카로 보며 얼마나 가슴 아리할 때가 많았겠는가. 유배자의 삶.... 그것은 또 얼마나 힘들었을까. 그러나, 초의와의 우정은 얼마나 눈물겹던지.... 그런 귀한 우정을 누리며 살았다는 것이 그에게 허락된 호사의 전부가 아니었을까 싶다.
글자를 쓰는 것은 그에게는 숨과 같은 것이었다. 참아버리면 이내 갑갑증을 느끼고 죽음까지 이르고 마는 호흡. 그에게는 글자가 바로 이것이다. 그를 견디고 살아지게 한 것이 바로 글자다. 그리고 이 책은 한 편의 인생지침서와 같았다. 어찌나 가슴에 아로 새기고 싶은 글들이 많던지. 가슴에 새기고픈 말들이나 추사의 일생을 통해 보았던 삶의 모습을, 열정을 닮고 싶다. 반드시, 그래야만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