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은의 이미지는 지금에 와선 분명 낭비된 바가 있다. 그것은 그녀의 노래만큼은 못한 변변찮은 에세이 때문이라든지, 예술가라는 말이 '아뤼스트'라는 단어로 너무 자주 희화화되는 한국사회에서의 자의식 대비 위치에서의 어떤 대외적 만족을 충족시키지 못한 바에서 비롯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지금 형성되어 있는 음악적 매너리즘에 의한 간극은 그녀가 아이돌스타라는 '달콤하지만 텅 빈 족쇄'에서 스스로 뛰쳐나와 진지한 음악가로, 그것도 충분히 대안적인 위치를 잡으며 성공적으로 거듭나는 그 마이너 수퍼스타로서의 과정이 마치 드라마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강력한 셀러브리티적 대안으로 다가왔던 것에서 그 아우라에 대한 충족지수 여하에 기대고 있는 바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아우라는 그녀를 대외적으로 소진시킨 원인이기도 했다.

그러나 가능한 한 모든 비아냥이나 비판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보여주는 자의식, 예술가라는 에고가 그저 공허한 자기위장에만 머무르지 않는다는 건 그녀가 쉬지 않고 수행해 내고 있는 벌써 13집까지 나온(조용필?) 앨범 작업들로 증명이 될 것이다. 존재의 증거를 증명해내는 것(그것을 유치하게 진정성이라고 불러도 되겠다)은 꾸준함의 역할이다. 물론 최근 그녀의 작업에 동의하느냐 마느냐는 개인적인 문제지만.

그러나 나는 '외롭고 웃긴 가게'의 첫 목소리가 내 귀를 울렸을 때 느꼈던 그 전율을 잊지 못한다. 그것은 아직도 잊혀지지 않는 진정 소름돋는 중얼거림, 그리고 이상은이란 가수가 세상에 있음을 비수로 귀에 꼽아넣는 결정적인 예리함이었다.

[Asian Prescription]은 그녀의 영어 앨범이다. 그녀가 일본어로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는 사실을 민족주의적 자존심의 연장선에서 바라 본 얘기(짜증날 정도로 전형적이게도)도 있었지만 후에 나온 또 다른 영어 앨범인 [Lee Tzsche]에선 외국어로 발현되는 의미의 다중성에 매혹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어떤 게 맞는 진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두 앨범을 비교하자면 난 이쪽이 더 맘에 든다. [도시락특공대 2집]에 보다 차분하게 어레인지되어 실려있는, 유난히 방정맞은 느낌의 'Actually, Finally'를 [Lee Tzsche]의 첫 트랙으로 들어선지도 모르겠지만. 한국어로 부를 때보다 건조해진 영어가사로 직조된 도시적인 서늘함과 묘한 청량감이 시종 우울하게 어른거리고 있는 [Asian Prescription]에는 무엇보다도 노래방 단골곡인 '어기여 디여라'가 실려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의식의 형상_State of Consciousness
유관석展 / YUKWANSEOK / 柳官錫 / painting

2008_0414 ▶ 2008_0502 / 일요일 휴관

초대일시_2008_0414_월요일_05:00pm
작가와의 만남_2008_0414_월요일_05:00pm

관람시간_10:00am~05:00pm 

 
숙명여자대학교 문신미술관 빛갤러리
Moonshin Museum Light Gallery
서울 용산구 효창원길 52 르네상스 플라자 B1
Tel. +82.2.710.9134
www.moonshin.or.kr



Untitled_캔버스에 유채_85×60×6cm_2006

 



Untitled_캔버스에 유채_85×60×6cm_2006

 



Untitled_캔버스에 유채, 왁스_116×96×6cm_2007

 



White Room_캔버스에 유채, 레진_152×89×6cm_2007

 



Untitled_캔버스에 유채, 왁스_94×99×6cm_2007

 



Untitled_캔버스에 유채, 왁스_94×99×6cm_2007

 



인간의 끊임 없는 자기 합리화에 대한 고찰_캔버스에 유채, 왁스_270×180×6cm_20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고 결론을 내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ㅔ ㅇ 

대운하 만세!

 

 

 

뻥.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좀 난감합니다만. 노회찬이 떨어지고 홍정욱이 붙는 거 같은 괴기스러운 시추에이션들은 뭐 지난 선거 때도 계속해서 지치지도 않고 나왔던 거라 어느 정도 면역은 되어 있는데. 그런데 이거 뭐 반복될 때마다 한결 같이 한심해지네요.

암튼 민주당은 우선 당내 정비가 한나라당에 비해 혼돈스러운 상황에서 비슷하게 공천부터가 오지게도 늦었던 게 실수였고, 그리고 이슈에서 실패했다고 봅니다. 사상장사가 영 안되는 우리나라 사람들 속성으로 미루어 자기 코앞에 떨어진 거 아니면 관심 얻기 어지간히 힘든데 대운하는 좀 멀었죠. 차라리 의료보험 당면지정제 폐지를 이슈화해서 물고 늘어졌다면 상당한 표를 흡수할 수 있었을텐데 여기서 헛발질했고. 뭐 그리고 대운하도 그리 크게 만들지도 못했고. 그런데 이 부분은 한나라당의 전략이 빛나는 부분임.

한나라당은 그 지독한 악재 투성이 속에서 이정도면 대박친 거죠. 궁극적으론 사람들을 정치에 신물나게 만드는 게 한나라당의 전략이었는데 그게 잘 먹혀 들어갔다고 봅니다. 정치에 질린 무관심 상태에서 표를 잡아먹는 건 충성도 높은 투표층의 존재인데 그 부분에선 최고니까요. 뭐 친박연대라는 우리나라 정치 사상 가장 솔직한 의미로서의 '순수한' 정치인 팬클럽이 8명이 당선될 정도였으니.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위 민주당이 보여준 모든 문제점을 다 끌어안고 뛰어들었죠. 특히 막판에 갈라선 게 어찌되었든 간에 후유증이었을 겝니다. 하지만 거시적으로 봐선 그렇게라도 해야 했었다고 보고요. 시기적으론 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근데 이 양반들 지지율이 완전 반토막이 나버린 건 보다 총체적인 민주주의의 제도적 난맥 문제로 이어지는데.

이번 대선에서의 한나라당의 성과는, 이명박 대통령 드라이브의 연장선에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습니다. 대운하, 의료보험, 내각 문제 등등 뭐 어느 것 하나 봐줄 게 없는 데도 한나라당이 150석을 먹었다는 건 지난 대선 이후에 이어진 문제점들에 대해 그를 선택한 사람들의 반성이 거의 없었다는 뜻으로도 보이거든요. 확고한 견제세력의 절실한 필요가 없었다는 것. 그 원인은 물론 50%도 채 되지 않는 선거사상 최저인 굉장한 투표율 덕입니다.

그런데 이게 좀 미묘한 게, 그렇다고 한나라당(이라기 보단 정확히는 이명박 대통령)식 정책이 그대로 통용될 것이냐로 돌아가면 확답하기가 힘들 거든요. 뭐 보수의 승리라느니, 보수의 시대라느니 그러는데 솔직히 우리나라에 보수 그런 거 없습니다. 자유선진당, 친박연대, 한나라당 합해서 엄청난 의석수를 가지게 된 게 사실이지만, 이들을 가르고 있는 감정과 이권다툼의 골은 그들을 뭉쳐서 진보니 보수니로 나누는 것보다도 더 깊다고 보이거든요. 자신들의 포지션을 따르기보단 파워게임을 따라서 유동적으로 흘러갈 게 다분하다고 보인다는 거죠. 뭐 친박연대는 한나라당 내 이명박 계파 거두의 몰락을 타고 다시 흘러 들어올 수도 있겠지만, 갈등이 없을 수가 없는 거고.

그와 관련해서 생각해볼 건 문국현의 승리인데, 어찌됐든 소위 민주-중도 세력의 구심점은 앞으로 이 양반을 통해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입니다. 일단 손학규나 정동영 같은 거물들이 패퇴했고, 그 상황에서 문국현이라는 나름 '신선한 대안'은 대운하 반대라는 기치를 걸고 이재오라는 이명박 대통령 최측근과의 대결에서 승리한 거니까요. 대운하 반대라는 명분과 이재오 침몰이라는 성과와 인물부재 상황은 그에게 힘을 쏠리게 만들 충분한 조건으로 작용하리라 생각합니다. 물론 조건만으론 충분치 않은 게 정치지만.

그외 자유선진당은 뭐, 자유민주주의를 추구하는 선진국이면 대개 갖고 있는 국가내 소수 극우파 역할을 충실하게 잘 해내주시리라 믿고 있고. 민노당은 의외로 강기갑 당선 건이 꽤 이슈가 되는 편이네요. 그래도 그 성향상의 한계가 있어서 미래를 보장하긴 힘들지만. 진보신당은 인력풀은 그런대로 확고하니까, 최대한 조직 추스리기에 전념하는 게 좋겠죠. 그렇다해도 꽤 불리한 상황이고.

암튼 이번 총선에선 그거 미술관/주차장 할인권 제공했다고 민주주의의 권위가 타락했다느니 뭐 그러는 양반들이 있는데 정말 그 잘나빠진 민주주의를 지키고 싶다면 민주주의의 권위 지킨답시고 놀러 댕기느라 투표 안 하게 만드는 것보단 걍 미끼 던져서라도 투표하러 오게 만드는 게 낫다는 생각. 이미 이 나라의 민주주의는 망가질대로 망가졌네요 46푸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美NASA에 비쳐진 이소연-'우주인' 아닌 '참가자'(?)
노컷뉴스 | 기사입력 2008.04.09 06:06

 

[워싱턴=CBS 박종률 특파원 nowhere@cbs.co.kr]

이소연씨(30)를 태운 러시아 우주선 소유즈호가 성공리에 발사되면서 우주를 향한 '한국의 꿈'이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세계 36번째의 우주인 배출국이라는 위상과 함께 유인 우주개발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국 최초의 우주인'이자 '세계 최연소 여성 우주인'...
그렇다면 과연 美 항공우주국(NASA)은 이소연씨의 위치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감격스러워 하는' 한국민의 느낌과는 사뭇 다르다.


우리는 이씨를 '우주인'으로 명명하는 데 주저함이 없지만 NASA측은 이씨를 '우주비행(우주여행) 참가자'로 명시하고 있다.

NASA의 인터넷 홈페이지는 물론 국제우주정거장 관련 일일소식을 다루는 NASA의 ISS 데일리 리포트에서도 어김없이 이소연씨는 '우주비행 참가자'(SFP-spaceflight participant)로 명기돼 있다.

"South Korean 'Spaceflight Participant' So-yeon Yi,will launch April 8 on a Soyuz spacecraft from Kazakhstan".

일반적으로 미국이나 러시아의 우주인 분류는 선장(commander)과 파일럿,비행 엔지니어등으로 구분되며,이씨와 같은 경우는 정식 우주임무에는 참여하지 않는 우주인인 셈이다.

이와 관련해 NASA측은 이소연씨의 소유즈호 탑승은 한국과 러시아 우주연방청의 상업계약(a commercial agreement)에 따른 차원이라고 밝히고 있다.

"So-yeon Yi will launch to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on a Soyuz ~ return on a Soyuz spacecraft with the Expedition 16 crew under 'a commercial agreement' with the Russian Federal Space Agency".

실제로 지난 2006년 12월 7일 당시 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러시아 연방우주청에서 한국 우주인의 훈련과 탑승에 대해 정식계약을 체결했었다.

NASA는 이와 함께 이소연씨의 우주임무와 관련해 이번 탐사과정에서 빛의 노출정도에 따른 승무원들의 취침과 기상패턴등을 체크하는 실험,즉 'SLEEP'(Sleep-Wake Actigraphy & Light Exposure during Spaceflight)에 참가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한편 미 항공우주국(NASA)은 이소연씨를 태운 소유즈호의 발사 장면과 비행중인 실내 모습을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생중계했다.

앞으로 NASA는 이씨가 오는 19일 미국의 여성우주인 페기 윗슨, 러시아 우주인 유리 말렌첸코와 함께 카자흐스탄 초원지대로 귀환할 때까지 주요 장면을 인터넷으로 생중계할 예정이다.

특히 오는 10일 소유즈의 도킹장면과 국제우주정거장 환영식,지구궤도 진입과 귀환등을 인터넷 사이트(http://www.nasa.gov/multimedia/nasatv/MM_NTV_Breaking.html)를 통해 방영할 계획이다.

--------------------------------------------------------------

애초부터 별로 감격스럽진 않았고요, 골방루저의 전통적인 입장에서라면 우주까지 나가서 신비를 캘 시간에 사는 동네 구석구석에 발굴되지 않은 것들을 캐내는 게 더 보람있을 거라고 말하겠지만 뭐 것도 한창 우주개발되던 70년대 미국에서부터 나왔던 얘기라 지겨워서라도 그리 말하고 싶진 않고. 이제는 내 돈을 뿌리다 못해 우주에다가도 뿌리는구나, 역시 관광한국. 이런 느낌.

 

건 그렇고 이번에도 투표일에 출근이네요. 난 시스템의 개야 허억허억.

 

오후 3시 34분 현재 투표율이 개판이라고 난리인데, 저는 된장이라서 투표확인증으로 미술관 할인 2000원 된다고 하면 헤헤 감사 하면서 넙죽 받지만 사람들은 뭐 관심이나 있을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이벤트 제한일이 이번 달 말일까지라니 무슨 장난치는 건지. 되도록 빠른 시일 내에 공수표 만들어서 종이낭비하려고 작정했네요 아주. 차라리 투표확인증으로 복귄 준다고 하면 투표율 만땅 채울텐데 우주여행 당첨인 쏠 돈으로 그거나 추진시켜보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락방 2008-04-10 1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저도 미술관 갈지 안갈지도 모르면서 받고 좋아라 했어요. 그런데 말씀하셨듯이 복권을 줬다면 얼마나 얼마나 좋았을까 합니다. 참으로 참신한 아이디어로군요! 다음번 투표땐 복권을 줘야될텐데요. 하하

hallonin 2008-04-11 14: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긴 30일까지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