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인문학으로 만나는 몸 공부 - 노장사상으로 배우고 황제에게 듣는 몸의 원리
차경남 지음 / 글라이더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중국 의학서로 알려서 황제내경을 통하여 몸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있다. 황제내경 대략 2000년 전에 나온 책으로 고대 동양인이 가지고 있던 생각을 잘 정리한 철학책이라고 볼 수 있다. 황제내경은 음과 양에 대한 설명 등 고대 당시의 철학을 말하고 있다. 이는 동양사상의 원형으로서 동의보감까지 전해지고 있다.

 

<황제내경>의 황제(黃帝:Yellow Emperor)는 중국 전설상의 임금입니다. 그는 노자(老子)와 동급의 깨달음을 지닌 이로, 같은 깨달음을 노자는 철학으로, 황제는 의술로 풀었습니다." 23쪽

 

 

 

 저자는 황제내경에 나오는음양오행, 기(氣) 등 동양철학적 관점으로 몸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세상의 근원을 물질로 보았던 서양의 관점과 다르게 고대 동양에서는 세상의 근원을 에너지라고 보고 있다. 저자는 몸 또한 단순 물질의 집합체가 아니라 에너지의 성질을 가지고 몸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인간의 육체는 단순한 '물질'이 아니라 '에너지'의 덩어리 입니다."

38쪽

 

"몸의 역사는 지구의 역사입니다. 지구 45억 년의 역사가 그대로 몸 안에 농축되어 있습니다."

104쪽

 

 

책 후반에는 몸뿐만 아니라 마음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몸과 마음은 뗄 수 없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몸을 알고자 하려면 기의 흐름을 이해해야 하듯이 마음을 이해 할 때는 의식의 흐름을 알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뜨거운 기운은 올라가고 차가운 기운은 내려가면서 몸 안에서 기(氣)가 순환을 한다고 한다. 마음을 이해하려면 의식의 흐름을 잘 알아야 하는데 인간의 의식은 보통 밖을 향하며 밖에 움직이는 것을 따라가기 마련이다. 저자는 이런 의식을 안으로 돌이켜 자기의 마음을 주시하라고 한다.

 

 "몸과 마음의  순환 원리를 터득하는 것이 수행이고 명상입니다. 명상에는 몸 공부와 마음공부가 있습니다. 몸 공부는 '기(氣)의 흐름'을 터득하는 것이고 마음공부는 '의식(識)의 흐름'을 터득하는 것입니다. 우리 몸 안에서 기(氣)가 어떻게 흘러야 가장 자연스러운 것일까요? 기가 자유자재로 '오르락내리락'해야 합니다. 이것이 '수승화강(水昇火降)'입니다. 말하자면 몸 안에 오르락내리락하는 '승강기'가 있다는 것입니다.

 

 

몸 공부 - 기의 흐름 - 수승화강

마음공부 - 의식의 흐름 - 회광반조

 

수승화강과 회광반조가 명상의 두 기둥입니다."

282쪽

 

 

"위빠사나는 매우 오래된 것입니다. 이것은 부처가 행했고, 달마가 행했던 것입니다. 중국에 선종을 일으킨 사람이 달마인테 달마가 가져온 것이 바로 이 '위빠사나'즉'관(觀)'이었습니다. 달마가 남긴 <관심론(觀心論)>에서 달마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觀心一法 總攝諸行(관심일법 총섭제행)

마음을 관하는 한 가지 법이 모든 수행법 전부를 포괄한다."

302쪽

 

 자기 의식을 안으로 돌이켜 마음을 관찰하는것이 명상의 큰 틀이라고 말한다. 불교에서 그런 수행을 관법이라 한다. 몸은 기의 흐름을 순환 시키것이라면 마음은 밖으로 향하는 의식을 안으로 돌이키는 것이라 하겠다.

 

 

"내 몸 안의 스위치를 다 꺼보십시오. 작은 지혜를 추구하는 이들은 몸 안의 이런 저런 스위치들을 잔뜩 켜려하지만, 그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그렇게 해서는 심신의 조화만 깨질 뿐입니다. 내 몸 안의 모든 스위치를 지금 꺼보십시오. 어둑해진 몸 안에서 신령스러운 것들이 작동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이것이 문을 고치는 이야기이고, 집 나간 자식을 데려오는 이야기입니다." 303 쪽

 

 

"무의식보다 한 단계 더 내려가면 초의식(super-consciousness)이 있습니다. 초의식은 '부동성(不動性)'을 띱니다. 초의식은 움직임이 없습니다. 초의식은 순수하고, 투명하며, 빛나고, 견고합니다. 그것은 장벽과 같고 바위와 같으며 허공과 같습니다. 그것은 결코 움직이지 않습니다 그것은 영원불멸하며 무변광댁합니다." 309쪽

 

 의식을 밖이 아닌 안으로 향해 오롯이 마음을 관찰하다 보면 의식 밑에 무의식과 무의식 보다 더 아래에 있는 초의식을 만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초의식을 아는것이 최종적으로 몸을 아는것의 궁극이라 할 수 있다.

 

"<황제내경>은 '인간의 몸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가장 심오한 관점에서 쓰인 책입니다. (...)몸의 배후에'마음(心)'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몸 공부'로 시작해서 '마음공부'로 마쳤습니다. 우리고 얻은 결론은 '몸 공부는 마음공부다'라는 것입니다." 304쪽

 

몸 공부로 시작해서 마음공부로 이어지며 책은 마친다. 몸과 마음은 서로 얼켜 있어 몸을 공부하고자 하면 자연히 마음공부로 이어진다고 한다. 몸이 에너지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자연히 마음으로 연결 된다고 본다. 역으로 마음을 수련하고자 하려면 당연히 몸도 수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몸과 마음이 둘이 아님을 저자는 강조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깨어 있는 마음으로 깊이 듣기 - 틱낫한 스님이 말하는 지구, 평화, 행복
틱낫한 지음, 진우기 옮김 / 시공사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저자는 틱낫한 스님으로 한국에서는 '화', '힘'이라는 책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스님은 베트남 출신으로 현재는 프랑스에서 '플럼빌리지'라는 명상 공동체를 이끌고 있다. 기존의 책과 마찬가지로 이 책에서도 '마음챙김'이라는 불교의 마음 수행법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책에는 지구와 우주라는 관점을 더하여 지구의 소중함과 우리 인간이 지구와 우주의 일부이자 하나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지구를 어머니라는 관점으로 지구는 모든생명의 어머니라고 말하고 있다.

 지구 모든 생명체의 어머니와 같은 지구를 아끼고 사랑하며 우리 인간이 지구와별개가 아니고 하나임을 깨달아 작은 인간의 한계에서 벗어나 마음의 평화를 얻으라고 조언하고 있다.

 

 

 "지구별을 '숨 쉬며 살아 있는 생명체'로 이해할 때 우리는 비로소 나와 지구별을 함께 치유할 수 있습니다." 13쪽

 

 

 지구는 그냥 딱딱한 돌덩어리가 아니라 하나의 거대한 생명체라고 볼 수 있다. 지구 안에서 수 많은 생명들이 서로 얽히고 설켜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 이는 하나의 거대한 운명공동체이자 생명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우리도 지구별을 단순히 무생물체가 아닌 살아 있는 생명체로 볼 수 있습니다. 지구별은 생명력이 없는 물체가 아닙니다. 우리는 이 별을 곧잘 '지구 어머니 mother earth'라고 부릅니다. 지구별을, 그리고 대지를 나의 어머니로 볼 때 지구별의 참 성품을 알게 됩니다. 지구별은 사람은 아니지만 분명 인간을 포함하여 수백만 종의 생명을 이 땅에 낳아준 어머니입니다."

20쪽

 

 

  어린아이는 어머니에게 위안을 얻는다. 성인이 된 우리는 어디서 위안을 받을 수 있을까?우리가 두 발 딛고 있는 지구가 있어 든든하지 않는가. 어머니 같은 지구에게 나를 전적으로 맡긴다면 마음에 커다란 위안이 될것이다.

 

 

"우리가 구하려는 위안은

바로 발밑에 있고

주변에도 두루 존재합니다.

이런 사실을 깨닫는 순간

우리의 많은 고통이 치유됩니다." 28쪽

 

 

  최근 화성 탐사가 많이 회자되고 있다. 인류가 우주를 향해 발을 뻗기 시작했다. 우주를 향한 인류의 첫 전진 기지가 화성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것은 지구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과학기술이 발전하여 지구를 떠나 우주를 향한다고 해도 하나뿐인 지구는 우리에게 고향과 같은 곳이다. 지구를 소중히 여겨 환경파괴를 줄여 지구를 탈출 해야 할 최악의 상황이 연출되지 않토록 해야 겠다. 우주 개발도 중요하지만 지구 환경보존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세 번이나 지구를 떠났지만

달리 갈 곳을 찾지 못했습니다.

우주선 지구호를 부탁합니다.

 

        _월터 시라.

          머큐리 호, 제미니 호, 아폴로 호 비행사" 32쪽

 

 

 

 

"마음챙김은 지금 이 순간 내 안과 밖에서 일어나고 있는 모든 것의 판단을 배제한 채 알아차리는 마음, 바로 깨어 있는 마음입니다.

 마음챙김이 우리를 행복의 근원에 이르게 하는 이유는 우리를 지금 여기에 온전히 존재하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마음챙김은 '항상 무언가를 알아차리는 일'입니다. 지금 행하는 호흡, 발걸음, 일어나는 생각, 하고 있는 행동을 알아차리는 일입니다." 45쪽

 

 

 마음챙김이란 지금 이순간을 사는것이다. 현재에 집중하여 깨어있는 마음을 항상 간직하여 떠오르는 생각이나 기분에 끌려가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 오로지 존재하는 수행법이다.

 마음챙김 수행을 통해 모든 인류가 어머니 같은 지구를 자각하길 바란다. 마음챙김 수행을 통해 자기 마음의 작동 원리를 깨우치고 마음의 고통에서 벗어나야 겠고 또 나를 둘러싼 모든 환경에 대해서도 자각 할 필요가 있다. 지구 모든 인류가 마음챙김으로 깨어나길 바란다.   

 

 

"마음속으로 자비,

이해, 사랑을 생각할때

그 생각 속에는 이미 몸과 마음과

세상을 치유할 힘이 있습니다."  93쪽

 

 인간의 고통은 자기로부터 나온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생각에 빠져 그 생각의 감옥에 갖혀 스스로 고통을 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자기의 생각을 자신과 동일시 하면 고통이 일어날 수 있으니 마음챙김 수련법으로 자기의 생각과 자신을 동일시 하는 습관에서 벗어나 자유로움을 느껴보자.

​  내가 죽으면 어머니인 지구로 돌아간다는 생각을 한다면  죽음에 의한 두려움도 극복 할 수 있을것이다. 죽으면 모든것이 끝난다는 단선적인 생각이 죽음을 두려움이자 고통으로 만드는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죽으면 다시 지구로, 우주로 돌아간다는 순환적인 생각은 생과사를 초월하게 되어 우리 마음에 평화를 줄것이다. 

"궁극적 차원에서는 생사도, 유무도, 선악도, 고통과 행복도 없음을 압니다. 이미지와 겉모습의 피상적인 세계를 상호 연결된 삶의 지혜로 깊이 꿰뚫어 보도록 훈련할 것이며, 그를 통해 만약 죽음이 없다면 태어남도 없고, 고통이 없다면 행복도 없고, 진흙이 없다면 연꽃도 자랄 수 없음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행복과 고통, 생과 사가 서로에게 기대고 서로 연하여 존재함을 압니다. (...) 실재에 대한 이런 이원적 관점을 초월하면 불안과 두려움에서 해방됩니다."154~15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