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하지 않고 퇴직하지 않는 1인 지식창업 - 배움이 자본이 되고 지식이 돈이 되는 평생기술
이종서 지음 / 가나북스 / 201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구에게 권할까

1인 창업을 하고 싶은 사람​

1인 기업에 관심이 많은 사람​

저자는 집필, 강연, 코칭, 책쓰기 강사, 비즈니스 실용 글쓰기 강사, 북코치, 콘텐츠 기획 등을 하고 있다고 한다. ​ 참으로 많은 일을 하고 있다. 저자의 경력과 활동내역을 보니 혼자서 창업하여 일하려면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 보다 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다.

 

누군가 나를 불러주고 누군가에게 어필할 수 있는 자유자재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가져야 할 것은 역시, 자신만의 콘텐츠다.

1인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되는 것이다.

123쪽​

1인 기업이라는 말을 최근에 많이 쓰고 있다. 책 저자는1인 기업 중에서도 지식컨텐츠를 바탕으로 1인 지식창업을 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회사에 의존하는 직장인이 싫다면 회사를 나와 자신이 창직을 해야한다고 말하고 있다.

'무엇인가 만들어낸다', '자신만의 콘텐츠를 기획한다'는 것은 지식창업자에게는 필수적인 능력이다. 단순히 없는 것을 만들어 내고 만족할 것이 아니라 대중이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자신의 미래를 걱정하는 직장인들에게  '콘텐츠 생산'은 심도 있게 고민해볼 필요가 있는 영역이다.

120쪽​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들고 자신의 브랜드를 만들라고 조언하고 있다.  자신만의 콘텐츠 이지만 콘텐츠의 내용은  대중이 필요로 하고 매력적으로 여기는 것을 담아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나만의 콘텐츠를 만들어도 그것을 원하는 사람이 없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무엇보다 대중이 어떤 지식을 원하는지 파악하고 그것을 충족할 수 있는 콘텐츠를 계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지식 비즈니스를 위해 대단한 절차가 존재하는지 연구했지만 결국 큰 줄기는

다음의 세 단계를 따름을 알 수 있었다.

1. 고객이 원하는 정보의 탐색 및 발견

2. 고객이 원하는 정보의 상품화

3.​ 고객이 원하는 정보의 판매

127쪽​

지식창업자에게는 플랫폼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식창업자는 사무실이 필요없지만 자신의 콘텐츠를 전달할 대상과 유무형의 공간이 필요한데 그것이 플랫폼이다. 

페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 소셜 채널과 오프라인 기반의 플랫폼을 평소에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플랫폼은 자신만의 브랜드와 콘텐츠를 대중에게 알리는 중요한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앞으로 닥칠 4차 산업 시대에는 인공지능과 로봇이 인간을 대처하는 일이 점점 많아 질 것이다. 인공지능과 로봇이 할 수 없는 창조적인 콘텐츠를 계획하고 만든다면 퇴직하지 않는 평생직업을 갖을 수 있을것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