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을 위한 빅 히스토리 - 한 권으로 읽는 138억 년의 역사
김서형 지음, 오승만 그림 / 해나무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에게 권할까


무엇이든 호기심이 많은 초등학생

역사에 관심이 많은 학생

우주, 지구, 생물에 관하여 궁금점이 많은 학생



저자는 러시아 빅 히스토리 유라시아센터 연구교수라고 한다. 빅히스토리 강의를 하고 있으며 빅 히스토리 컨테츠를 개발 중이라고 한다.


나는 이 책을 통해 '빅 히스토리'라는 단어를 처음 접하였다.

 '빅 히스토리'라는 단어만으로는 무슨 뜻인지는 감이 오지 않았다. 

하지만 표지에 '한권으로 읽는 138억 년의 역사'라는 문구가 있어 읽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책은 올 칼라이고 삽화가 많아 독자의 이해를 돕는데 좋게 구성되어 있다.

책에서는 138억년의 모든 역사를 다루는데도 딱히 부족함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분량과 편집이 적당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초등학생이 부담없이 읽을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책은 초등학생을 위하여 만들었다고 하지만 일반 성인이 읽기에도 좋은 책이라 생각이 들었다.


책은 우주의 탄생부터 현재 인간의 역사까지 138억년의 역사를 담고 있다.

일반적으로 역사책이라고 하면 인간의 역사만을 다루는데 

책에서는 우주의 시작, 지구의 탄생, 생명체의 탄생, 인류의 등장, 

국가탄생, 산업화, 인간의 미래 등 

우주, 지구, 생물, 인간의 역사를 모두 다루어 있다.

 


나는 학창시절 우주, 지구 기원은 지구과학시간에 배우고 

생물의 변천사는 생물학 시간에 배웠다. 

인간의 역사는 국사와 세계사 시간에 배웠다.

인간의 기원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주는 교과목이 없었다.


이 모든것들을 따로 따로 배우다 보니

138억년의 시간을 통으로 생각해볼 기회가 없었다.

하지만 이번 책을 통해 이 모든 것들을 한 번에 통으로 읽게 되어

138억년의 역사를 다시 한 번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융합이 잘된 컨텐츠라는 생각이 들었다.


인공지능과 로봇이 활동하는 미래는 

로봇이 하지 못하는 창의적인 일을 하는 인재가 필요하다고 한다.


'빅 히스토리' 같은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융합한 컨텐츠가 

창의적인 아이로 키우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