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는 날아가면서 뒤돌아보지 않는다
류시화 지음 / 더숲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에게 권할까

자신의 삶을 뒤돌아 보고 싶은 사람
여행과 명상을 좋아하는 사람
자유롭고 싶은 사람


류시화 작가의 산문집이 나왔다.
그 동안 많은 시집과 명상관련 번역 책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명상가이자 작가이다.

나는 군대에서 그가 쓴 책을 몇 권 읽어보았다.
가장 인상 깊었던 책은 '하늘호수로 떠난 여행'이라는 책인데
작가가 인도를 다녀와서 쓴 수필집이다.

그 책을 너무나 재미있게 읽고 제대 후에 꼭 인도를 가야겠다고 마음 먹었다. 
제대후 복학하면서 공부하느냐 정신없이 보내다가
한 참 시간이 지난후에야 인도로 배낭여행을 가게 되었다.

저자가 살아온 이야기를 하면서
저자의 관심 분야인 명상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있다.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교훈을 준다.
책에 있는 이런 저런 이야기를 읽다보면 감동이 밀려온다.
아마 그의 인생 코드와 내 인생 코드가 비슷해서 그런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생각은 내가 아니다.
본래의 나는 생각들이 아니라 그것들의 관찰자이다.

그 '나'의 알아차림이 없으면 
생각이 우리 삶의 주인이 되고,

현존이 아니라 
끊임없는 중얼거림이 일상을 차지한다.

이 중얼거림에서 깨어나 미소 짓지 않겠는가?

210쪽


떠오르는 생각을
나라고 생각하지 않고
한 발짝 물러나서 생각을 본다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끊임없이 떠오르는 생각이나 
내가 만든 '자아'로 부터
어느정도 자유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간단한 기술인데도
이것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성장하면서 생각의 패턴이
자연스럽게 나라고 생각하면서
살아왔기 때문이다.

새는 날아가면서서 뒤돌아보지 않는다.
뒤돌아보는 새는 죽은 새다.
모든 과거는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날개에 매단 돌과 같아서
지금 이순간의 여행을 방해한다.

101쪽


책 제목이 나오는 구절이다.
과거에 겪었던 굴욕, 화, 억울함을
끊임없이 되풀이 해서 생각하는 것보다
다 털어버리고
지금 이순간을 살아보는것은 어떨까 생각해 본다.

가해자는 자기가 한 일에 대해서 다 잊고 사는데
피해자는 그 상처를 곱씹으면서 평생을 괴로워 한다.
이는 피해자에게는 너무나 억울한 일이다.

 '과거에 대한 생각'으로부터
자유롭게 살아가보자.

과거를 내려놓고 현재를 붙잡는 것이 삶의 기술이다.
오래전에 놓아 버렸어야만 하는 것들을 놓아 버려야 한다.
그다음에 오는 자유는 무한한 비상이다.
자유는 과거와의 결별에서 온다.

104쪽


저자는 가슴 뛰는 삶을 살아보라고 한다.
다른 사람들의 눈치를 보느냐
다른 사람들의 기준을 충족하느냐
스스로를 검열하며
정작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꾹 참고 평생 산다면
죽을때 후회도 남고 억울 할 것이다.


그냥 좀비처럼 하루 하루를 살기 보다는
감동 스러운 삶을 살아보고 싶다.
자신에게 감동을 주는 삶뿐만 아니라
다른 이에게도 감동을 줄 수 있는 일을 해보는건 어떨까 생각해 본다.


죽음이 임박했을 때 가장 후회스러운 일은
'스스로를 무시하며 살았다'는 것이다.
가슴이 원하는 여행을 하지 않은 것만큼 큰 실수는 없다.

남의 기준에 맞추고 사회의 암묵적인 동의에 
의문 없이 따름으로써,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경험했을 더 많은 기쁨들을 
스스로 놓쳐 버린 것이다.

263쪽


스스로를 억누르며 살고 사람들에게
자유롭게 살고 싶은 사람들에게
이 책을 추천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