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배우는 우리아이 감정읽기 - 0~2세 부모가 알아야 할 발달단계별 아이의 심리
린 머레이 지음, 김경영 옮김 / 이덴슬리벨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누구에게 권할까?

 

0~2세 자녀를 둔 부모.

아이의 심리를 알고자 하는 심리학자.

심리상담가.

 

저자는 영국의 발달심리학 교수이며 오랜시간 아이들의 심리를 연구한 연구자이다.

영상으로 아이들을 찍어 프레임마다 관찰하는것이 아이들의 심리를 연구하는 오랜 방법이라고 한다.

책에서는 영상으로 아이들의 행동을 찍고

거기에서 유의미한 프레임을 추렸다.

책에서 추려낸 사진을 나열하여 사진과 함께 아이의 심리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편집이 깔끔하여 가독성이 높은것 이 책의 장점이라 생각한다.

 

 

책은 4개의 장으로 이루어졌는데

1장에서는 영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대해 다루고

2장에서는 애착 관계에 대해 다룬다.

3장은 힘든 경험과 감정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자기조절 능력에 대해 다루고

마지막 4장에서는 아이의 인지 발달에 대해 다룬다.

 

 

"생후 2년 동안 뇌는 급격하게 발달한다.

이 시기에 영유아는 자신이 처한 사회적 환경에 대단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심리 발달면에서도 눈에 띄게 성장한다.

타인을 이해하는 방식뿐 아니라 다양한 인지 기능, 언어 기능, 행동조절 능력 등이 대표적이다.

이 모든 발달 영역에서 아이가 다른 사람과 맺는 관계는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생후 2년은 지극히 중요한 시기다.

아이의 발달 상태에 따라 앞으로 아이의 능력에 지대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20~21쪽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 생각한다.

사회를 이루고 살기 때문에 지금의 인류가 있는것 같다.

신체적으로 인간은 다른 맹수보다 약하기 때문에 자연에서 살아남으려면

군집을 이루고 살아야 했다.

사회성은 이제 인간이 배워야할 필수불가결한 성격이 되어버렸다.

제2의 천성이라 불릴만 하다.

아기는 생후 2년 동안 사회성을 많이 배우게 된다.

혼자 사는것이 아니라 타인과 같이 살아야 하기에

타인을 이해하고 관계를 맺는것을 배운다.

이때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책에서 아이가 사회성을 익히도록 부모가 해야 할일을 코칭하고 있다.

 

"영유아기 아이의 발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자신을 보살피는 사람에 대해 애착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애착 관계는 누군가와 맺는 정서적 유대와 비슷하다.

애착 관계는 타인으로부터 보호와 지지를 받고 다정한 위안을 얻고 싶은 욕구와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100쪽

 

 

부모와 아이 사이에 애착 관계가 형성 된다.

아이는 태어나 혼자 생존 할 수 없기에 본능적으로 자기를 보살펴 주는

부모와 애착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부모는 아이와 어떻게 애착관계를 맺어야 할지 설명하고 있다.

 

 

 

"영유아기의 아이가 직면하는 가장 힘든 과제 중 하나는

감당하기 힘든 상황과 감정을 극복하고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거나 조절하는 일이다.

 

자기조절 능력은 아이가 무슨 일이든 잘 해내고,

인지적 활동이건 사회적 활동이건 새로운 상황과 요구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168쪽

 

 

아이는 자신의 감정과 신체를 통제하는것을 서서히 배운다.

신체는 처음에는 자기 마음대로 안되는지

자기 팔, 다리를 통제하는데 시간이 걸리는것 같다.

처음에는 팔 다리를 자기 뜻데로 움직이지 못하고 허둥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감정을 통제하고

행동을 조절한다는 것은

처음 아이에게는 낯설고 힘들일이다.

 

 

 

"아이와 함께 책을 보는 경험이 아이의 언어와 인지 능력을 키우는 데 특히 좋은 방법이라는 사실은 이미 입증됐다. (...)

연구에 따르면, 부모와 함께 책을 본 아이는 나중에 언어 능력과 읽고 쓰는 능력이 더 발달할 가능성이 크다. (...)

이때 중요한 것은 '지지적 책 보기'다. 책을 더 자주, 질을 높여가며 보여주는 것이다."

 

272~273쪽

 

 

마지막 장에는 아이의 인지 발달에 관하여 설명한다.

특히 부모가 아이에게 대화하는 식으로 적극적으로 책 보기를 하는것은

아이의 인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저자는 이 책의 판매수익으로

책을 접하기 힘든 저개발 국가의 아이들에게 책을 보내준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