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를 읽다, 쓰다 - 패권을 향한 영웅들의 일침 고전 필독 필사
공원국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삼국지 원문구절 100개를 골라 책을 구성하였다.

저자는 사람들을 궁극적으로 어진 길로 인도하는 내용을 추렸다고 한다.


원문을 공부하다 보면 번역본에서 맛 보지 못한 원본의

간결함과 담백함을 느낄 수 있다.


이번 책을 통해 삼국지의 담백한 원문 맛을 잠시나마 볼 수 있었다.



100개의 구절에는

삼국지 원문인 한문구절과

그 해석과 배경을 설명해 주고 있고

옆페이지는 독자가 원문을 필사 할 수 있게 공간을 남겨 두었다.


한 구절씩

마음에 새기며 원문을 써 본다면

삼국지에 나오는 인(仁)의 깊은 뜻을 마음에 새길 수 있을 것이다.




나라에 백성이 있음은 물에 배가 있는 것과 같다.

고요하면 안정되나 요동치면 위험해지나니,

(백성은)어리석으나 속일 수 없고, 약하나 이길 수 없다.


젊은이다운 맹렬함으로 낙통은 오나라의 공출과 부역이 지나치다고 질타했다.


184쪽




국가가

국민을 생각하지 않고

공출과 부역이 과다하게 부과한다면

필히 반발이 있기 마련이다.

국민을 위한 국가가 되어야

강성한 나라가 될 수 있다.








무릇 큰일을 이루자면 사람을 근본으로 해야 하네.

지금 사람들이 나에게 왔는데 어찌 버리고 가겠는가.


94쪽



유비의 인(仁)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리더로서 인을 갖고 있어야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러세력들이 반목하는 상황이라면

적까지 포용할 수 있는 넓은 마음이 필요하다.


한국에서는

왕건은 견훤과 신라의 왕족들을 품으며 후 삼국을 통일하는

업적을 남겼다.


앞으로 한국에서도

이런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가 나와

한국 내의 갈등을 통합하고

나아가 북한까지도 포용할 수 있는

통일의 위업을 달성하였으면 좋겠다.



삼국지를 필사하면서

삼국지에 나오는 당시 정치 철학을 살펴보고

난세를 살았던 영웅들의 리더십도 보며

현재에 우리사회에 필요한 정치 철학과

리더십에 대해서 고찰해보는 기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