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의 시크릿 - 부와 행복을 끌어당기는 단 하나의 마법
밥 프록터.그레그 S. 레이드 지음, 박상진 옮김 / 진성북스 / 201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성공을 위한 행동지침서가 나왔다.
자기계발서가 넘처나는 시대지만
이 책은 자기계발서의 원조격인
나폴레온 힐의 격언을 많이 인용하고 있다.
앤드루 카네기와 나폴레온 힐이 만나는 장면부터 책은 시작된다.
생각은 현실이 된다
Thoughts become
things
42쪽
가난과 부(富), 두가지는 모두 생각의
산물이다.
성공하려면 생각이 중요하다.
물론 인간으로 활동하려면 생각하는 것은 기본이다.
인간이 인간다운것은 생각때문일 것이다.
생각을 하고
이미지를 구체화하고 목표를 세우면
그 사람의 행동이 그것을 구심점으로 움직이기에
결국 생각했던봐를
얻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나도 평소
인도에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것도 부처가 깨달은 곳을 방문해보고 싶었다.
그리고 정신을 차려보니
인도 보디가야 보리수 밑이였다.
내가 어떻게 해서 이렇게 먼 곳까지 왔을까
신기했다.
삼장법사, 혜초 같은 사람들은 그 옛날 목숨을 걸고
왔던곳인데...
그것은 내가 생각을 했고 또 그곳을 이미지화 때문이다.
생각은 사람을 움직이는 원동력이다.
타인이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거야말로
명실공히 가장 효과적이고 빠른 성공
비결이다.
178쪽
세상은 혼자 사는 것이 아니다.
성공도 자기 혼자하겠다고
설치면
주의 사람들이 내가 성공에 다가서려는
순간
끌어내릴 것이다.
다른 사람의 성공을 돕는다면
다른 사람도 기꺼이 나를 도울것이다.
함께 성공하는 길을 찾는다면
내가 성공하기가 더
수월해 질것이다.
긍정성을 앞세워라
긍정적인 사람일수록 회복력이 강하므로
시련을
더 잘 극복하고 해결책도 쉽게
찾는다.
긍정적인 사람일수록 문제의 이면을
본다.
폭넓은 관점으로 해결책을 찾고,
필요할 때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데 적합하다.
182쪽
부정적인 생각은
긍정적인 생각을 하기 보다
정말 하기가 쉽다.
그래서
부정이 긍정을 잘 좀 먹는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라는 표현이 떠오른다.
긍정적인 생각을 한다는것은
이처럼 자연스러운것을 거스르는 것이다.
그만큼 부정적인 생각을 이겨내고
긍정적인 사고를 하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성공하는 사람일수록
긍정적인 사고방식으로
적극적으로 필사적으로 매달려 본다.
그래야 솟아날 구멍이 보일것이다.
다른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기회를 보려면
긍정적으로 현상을 보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좋아하지도 않는 일을 하는 것은 고문이나
마찬가지다.
일처럼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즐거워야
한다.
183쪽
그대는
매맞는 직장인 인가?
회사가는것이 고통스럽지만
가지 않으면
생계가 막막해서
아침에 일어나
꾸역 꾸역 회사를 가는가..
그렇다면
업무에 몰입하기가
힘들것이다.
억지로 하는것은 즐겁지도 않고
몰입이 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성과도 나오지 않는다.
성인은 대부분의
시간을
일터에서 보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처럼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즐거운일을 찾아 보자.
짧은 인생 고문같은 직장을
참으며 다니지 말자.
자신의 신념에 맞는 일을 찾아보자.
자신의 감정을 신념 및 아이디어와
결합시켜라.
이는 삶에서 조화를 이루는 유일한 방법이 될
것이다.
118쪽
책 마지막 부분에 부록으로
역자가 생각하는 사고방법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다.
역자 후기
첫째는 스마트 사고다. 어떤 지식이나 경험에서 사물의 인과
고나계를 잘 파악하라는 것이다.
둘째는 전략적 사고다.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이 가진 역량과
능력, 재정, 시간 자원을 목표 달성에 최적화시키라는 것이다.
셋째는 긍정적 사고다. 이는 사물의 밝은 측면을 보는
것이다.
긍정적인 고나점에 대한 분명한 목표를 세우고 의식적으로 연습하고
습관화시켜야 한다.
261쪽
현재 우리 살고 있는 모습은
다 사람들이 생각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사람들이 더 편리한 세상을 만들고자
생각했던 상상들을 현실로 이룬것이다.
수많은 발명이 그렇게 이루어 졌다.
인생에 필요한 모든 돌파구는 당신의 상상 속에 들어
있다.
상상은 마음의 작업실이며 에너지를 성취와 부로
바꾼다.
195쪽
성공하고 싶다면
지금부터 원대한 꿈을 품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