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덕질로 인생역전 - 유쾌한 밥줄을 찾는 열두 가지 방법
대학내일20대연구소 기획.엮음, 빙글 기획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6년 3월
평점 :
덕질이 본업이 된 사람 12명을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다.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 수 있을까?
좋아하는 일과 밥벌이 일치하면 행복해 질까?
회사원들은 직장을 다니며 이런 질문을
종종 자신에게 한다.
책 주인공들이 이런 질문에 어느정도 답을
주지않을까 생각한다.
이 땅에서 '다양한 선택의 기회'가 메말라
간다.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살겠다는 것은
'철없는 꿈'에 불과하다
덕.업.일.치.
덕질(좋아하는 일)과
본업(밥벌이)이 일치하는 삶을
살기란,
그토록 어려운 걸까?
우리는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 수 없는
걸까?
권태로운 밥벌이에게 지친
기성세대에게
작은 영감이나마 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
5쪽
연예부 기자가 된 드라마 덕후
프렌치펍을 차린 요리덕후
다이빙샵 오너가 된 다이빙덕후
포토그래퍼가 된 사진덕후
알바생에서 커피대회 심사위원까지 된 커피덕후
앱 기획덕후
섹스칼럼니스트가 된 연애스토리덕후
여행책방 주인으로 변신한 글덕후
지역브랜딩 전문가각 된 아웃도어 덕후
사진과 영상으로 먹고사는 사진덕후
창업덕후
연예기획사 부시장이 된 음악덕후
첵에서 12명의 덕후가 나온다.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지고
열정으로 일하고 있는 덕후라고 말할 수 있다.
토익 점수 없음,
자격증 없음,
해외어학연수 경험 없음,
봉사활동 없음,
공모전 수상경력 없음.
대학 때 한 거라곤 드라마 덕질,
배우 덕질, 가수 덕질밖에 없었으니
그나마 내가 어필할 수 있는 것을 쥐어짜내
보니
'글쓰기'가 남았다.
기자가 되고 싶었다기보다,
그나마 잘할 수 있는 것이 방송 관련한 글을 쓰는 일이었던
거다.
16쪽
덕질로 쌓은 전문성도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덕질로 쌓은 전문성은
일률적으로 취업준비자가 갖추는 토익점수, 어학연수, 공모전 수상경력 보다
더 튀는 스펙이 될 수 있다.
새롭게 시작하는 건 용기만 있으면
가능하다.
단, 하다 보면 점점 더 재미있어야
한다.
처음에는 뭐든지 재밌다.
하고 싶어서 뛰어든 일이니깐.
하지만 기껏 찾은 재밌는 밥줄이
지속 가능하려면 자신에게 어울리는
방식으로
돌아가도록 판을 짜는 것도
필요하다.
28쪽
경영학을 전공했고,
대기업 홍보 마케팅부에 7년간
몸담았다.
시간이 흐를수록 직장에서의 나는
좀 별로였다.
30쪽
조직생활에 회의를 느껴
퇴사를 하고 자신만의 사업체 세운다면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아서
자신에게 어울리는 방식으로
회사를 운영해야 겠다.
자율적으로 일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자
단점이다.
내가 하는 만큼,
움직이는 만큼 기회가 생기기 때문에
자기 관리와 노력은 필수다.
79쪽
프리랜서로 생활하면
소득이 일정하지 않고
출퇴근시간이 일정하지 않다.
자유도 많지만
그 만큼 자기절제가
필요하다.
자유를 원한다면
불안정을 즐길줄 알아야 한다.
'내 덕질'과 '내 직업'을 일치시켜
유쾌하게 먹고사는 덕후들이
많아질수록
실업난 해소,
자존감 제고,
국민행복수준 향상,
글로벌 선진국으로의 도약,
이 모든게 가능해질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6쪽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살 수 있다면
회사에 사표쓰는 일은 없을것 같다.
월요일병도 없어질것이다.
출근하고 싶어 빨리
월요일이 오기를 바라며
설레는 마음으로 출근하는
즐거운 출근길이 될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좋아하기에
오래 지속할 수 있어
그 분야에 전문가로 거듭 날 것이다.
그런
덕후들이
기업을 창업하면
전문성이 강한 강소기업이 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