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민해도 괜찮아 - 불쾌한 터치와 막말에 분노하는 당신을 위한 따뜻한 직설
이은의 지음 / 북스코프(아카넷) / 201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는 현재 변호사로 일하고 있다. 책을 읽다보니 저자가 대학에 입학하여 취업을 하고 또 회사를 다니다고 그만두고 로스쿨에 가서 공부하고 변호사가 되어 활동하면서 경험하였던 저자의 인생이 내 머리 속에 주욱 그려진다.

 회사생활을 하는 직장여성이 이 책에 공감을 많이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남성에 의해 많은 성추행이나 성폭행을 당한 많은 여성들의 고통을 느낄 수 있었다.

 고통 받는 사람의 입장이 되어 보지 않으면 타인의 고통을 알고 공감하기란 쉽지 않다. 내가 남자이기에 여성이기 때문에 겪는 고초를 알고 공감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여성들이 겪는 고통을 알 수 있었다. ​

​ 이 책은 남성 직장인들에게 회사생활을 하면서 여성동료에게 농담으로 건낸 말이 상대방에게 성적 모욕감이나 수치심을 줄 수 있다는 교훈을 주는 책이라 생각한다. 

 

"한국의 청년들은 사회적으로

겸손과 순응을 주입받으며 자란다.

특히 여성에게는 그것이 보다 더 강하게 요구된다.

​겸손과 부드러움 자체가 문제일 리 없다.

문제는 '겸손'이 자기다움을 포기하고

다수의 입장에 서는 것으로 학습되고,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한 것이 '순응'인 양

포장된다는 것이다." 237쪽

​ 회사에서 성추행이나 성폭행을 가해자가 쉽게 저지를 수 있는 이유는 이런 조직에서 상명하복의 강압적인 분위기가 한 몫 하는것은 아닐까 싶다. 순응하고 착한 사람이 되라는 어른들의 훈계가 불의에도 쉽게 굴복하는 인간을 만들어 내는것은 아닌가 싶다.

 착한사람이 되라고 하기보다는 불의에 저항하는 사람이 되라고 가르치는 것이 이런 피해를 막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데 도움이 될꺼라고 생각한다.

​ 

 조직이란 전체를 위해 개인을 희생 할 수 있다는 문화는 위험한 것이라 생각한다. 이런 생각은 개인의 존엄성을 해칠 수 있다. 공동체를 위한 법과 질서를 지켜 하지만 무조건적인 권위에 대하여 순응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개인에게 판단 할 수 있는 힘을 키울 수 있도록 하여 부당한 권위에는 저항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진실의 편린은 약자나 소수의 편에서 주고 있을 확률이 높지.

자네는 그런 입장에서 싸워봤으니 알지 않을까 싶네.

다수의 입장에 서면 사는 게 쉬워지지.

다수나 강자의 입장에 선다는 것은 유리해지는 거니까.

하지만 법을 하는 사람은 유리하지 않더라도

진실의 편린을 바라봐줄 수 있어야 하지 않겠나." 263 쪽

 저자가 로스쿨 재학시절 교수님께 들은 이야기라고 한다. ​강자의 입장에서 있으면 편하고 안락한 지위를 얻을 수 있을것이다. 하지만 약자의 편에 선다는 것은 힘들고 가시밭을 걷는 것일 것이다.

 굳이 법학자가 아니더라도 양심을 지키는 사람들은 약자를 지나치지 않을것이다.

 강자는 자기가 강자인줄도 모르기 때문에 약자가 보이지도 않고 약자에게 공감 할 수도 없다. 

 가해자는 자기가 가해자인줄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 피해자만 혼자 끙끙 앓기 일수다.

​ 때문에 피해자는 더더욱 자신의 고통을 가해자나 여러사람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가해자도 자신의 과오를 알 수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가해자가 되는것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