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시간의 한국사 여행 1 - 도전과 응전, 새 길을 열다, 선사 시대에서 고려까지 36시간의 한국사 여행 1
김정남 지음 / 노느매기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저자는 현직 고등학교 국사교사로서 교과서의 페이지가 한정되어 있기에 압축적으로 한국사를 서술하다보니 학생들이 어려워 하는것이 아닌가 진단하고 있다. 그래서 여기서 풍부한 사진과 사료의 내용을 첨부하여 3권의 한국사 책을 냈다.  

 

"36시간의 한국사 여행"은 선사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총 36시간 동안의 여행입니다. 1권은 12주제로 12시간 동안 선사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의 역사를 탐방하며 당시의 모습을 생생히 보여줄 것입니다." p5

 

총3권으로 책을 냈는데 1권은 고조선부터 고려시대까지 2권은 조선시대 3권은 근현대시대에 대해여 썼다.

 

"그러면 우리 역사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첫 번째는 개념에 대한 이해입니다.(...)역사 사리과 문맥 속에서 개념을 인식해야 이해도 빠르고 오래 남습니다.(...) 두 번째는 나열식 설명보다는 당시의 사료를 통해 시대상을 파악하는 것이 역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세 번째는 역사를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p5

 

 책은 삼국유사, 삼국사기, 고려사의 구절을 인용하여 책 안에 많이 수록하였고 그림과 사진도 풍부하게 수록하여 중고등 학생들이 역사를 더 쉽게 이해도록 책을 썼다.

 또한 과거에 썼던 용어도 한자를 풀이하여 한글세대인 학생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배려하였다.

 

 압축된 교과서만을 읽다보면 한국사에 대한 흥미를 잃을 수도 있다. 국사를 공부함에 있어 많은 도료집을 보면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될것이다. 확실히 시각자료가 머리에 강하게 각인되고 공부하는 사람의 흥미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각종 지도, 사료, 유물 사진, 유적지 사진 등을 보면 역사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더 생길 것이라고 생각된다. 자녀에게 역사 공부를 시키고 싶다면 이런 시각적 자료가 많은 책을 보여주는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중고등학생들이 교과서를 더 깊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것이라고 생각한다. 학교를 졸업한고 국사 공부를 오랜시간동안 하지 않았던 일반인들이 보아도 괜찮은 책이라고 생각된다. 

 

요즘 교과서를 국정화 한다고 해서 정치권에서 이슈화 되고 있다. 교과서를 어떤 식으로 서술하든 한 가지 시각으로 역사를 본다면 폭넓은 안목을 기르기 힘들다고 생각한다. 교과서 외에도 많은 역사책을 읽어 한국사를 더 깊이 있게 공부하고 더 나아가 세계사 까지 공부하는 것이 글로벌 시대에 요구하는 인재상일 것이다. 자라나는 세대가 한국사와 세계세를 열심히 공부하여 폭넓은 시각을 갖춘 사람으로 커가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