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담은 사찰 밥상 - 24가지 사찰음식 이야기와 간편 레시피
이경애 글.사진 / 아름다운인연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려한 책

맛있는 책

​채식주의자 책

이라고 소개하고 싶다.

책에는 사찰, 자연풍경, 음식 사진으로 가득하다.

넘기면서 보면 절로 침이 고인다.

​명상센터나 사찰에서 지냈던 경험이 있고

소실적에 채식했던 나에게는 꼭 읽어보고 싶었던 책이다.

명상센터나 사찰에서는 야채 위주의 음식이 나오는게

나는 그것들을 너무나도 맛있게 먹어

사찰 음식에 대한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다.​

첫 레시피로 나오는 음식명 '무왁자지'

처음 듣는 음식이었다.

사진을 보았다. 사진을 봐도 처음보는 음식이었다.

​음식점에 가서도 본적이 없는 음식이었다.

내가 인스턴트 식품만 먹고 살았구나.

갑자기 내 건강이 염려가 든다.

​편의점에서 삼각김밥, 커피, 빵, 라면을 많이 먹었던 내 삶을

돌이켜 보았다. 편리하고 빠르지만 과연 이것들은 내 몸에 들어가서

어떤 작용을 할까 약간 걱정이 된다.

그 다음 레시피를  쭉 보았다. ​감자보리밥과 우거지빡빡된장, 쑥개떡, 상추불뚝이물김치, 도토리야채수제비, 들깨송아리부각, 비자강정, 톳나물밥, 느티떡, 우무막지, 쩜장, 뺏대기죽, 참마백꽃전, 참취장아찌조림, 참죽자반, 고구마줄기김치, 우란분재 오과백미, 우엉전, 원추리나물, 수리치개피떡, 메밀방떡, 해초된장국, 감태짱아치, 장떡.

생전에 듣지도 보지도 못한 음식이 대부분 이었고

​과연 이것을 우리가 먹었던 식물이었나 라는 생각도 들었다.

내가 자연을 얼마나 멀리하고 살았나 생각해보앗다.

아마 나뿐만 아니라 대도시에 사는 젊은 사람들이라면

이런 음식은 듣도 보도 못했을 것이다.

​외식 문화가 우리나라에도 자리잡고 이제는 외식을 즐겨하는 문화가 되었지만

양식, 일식, 중식 등의 음식 위주로 외식 체인점이 많다. 물론 한식을 하는 외식 체인점도 있지만 이 책에서 소개하는 음식을 팔지는 않는다.

사찰 음식도 우리 음식이고 한식이라 불릴만 한데

어디에서도 팔지는 않는구나.

사찰밥상은 근래에 들어서 웰빙문화 바람을 타고 대중에게 소개되는 단계인가 보다. 나는 이렇게 건강에도 좋고 자연을 담은 좋은 음식들이 대중화 되지 않은것이 못내 아쉬웠다. 내가 사찰음식을 주제로 식당을 차리는 것도 괜찮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에 템플스테이를 하려고 많은 외국인, 내국인이 사찰을 방문하는데

그들에게 사찰 음식을 홍보하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의 사찰음식이 널리 사람들에게 알려져 많은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사찰음식을 먹으로 관광을 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