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래의 여자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5
아베 코보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1년 11월
평점 :
8월 어느 날, 한 남자가 행방불명되었다.
이 책 첫 페이지, 첫 문장이다. 글을 써 본 사람만이 알 수 있는, 혹은 글이라는 것을 쓰려고 안간힘을 써본 사람이라면 짐작할 수 있는 광폭의 공포가 있다면, 단연 그것은 글의 첫 문장이다. 그것은 우연이 흘러나올 수도 있지만, 뫼비우스의 띠처럼 글의 끝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모래의 여자>는 첫 문장으로 이미 손색이 없거나, 혹은 독자의 기대와 어긋나있다.
행방불명되기를 원하지 않았지만, 비밀스럽게 휴가를 떠난 남자는 해안가 사구에 이른다.
모래땅에 살고 있는 곤충을 채집하기 위한 욕망이 그를 그곳으로 이끈다. 비옥한 땅을 포기하거나 혹은 그곳으로부터 밀려나 모래라는 척박한 환경에 적응한 특이한 아웃사이더 곤충을 찾아내는 것이 이번 휴가의 목적이다. 아웃사이더 곤충 중에서도 그가 선택한 곤충은 [좀길앞잡이]이다.
그러나 그가 만난 좀길앞잡이는 곤충이 아니라, 노인이었다. 노인은 그에게 친절하게도 길을 안내한다. 모래 구멍 속으로. 그리고 거기에는 기이한 여자가 있다. 그럴듯한 저주에 걸린 사람처럼 반복적으로 모래를 치우는 여자가 거기에 있다.
모래 구멍 속에서, 좀 더 번듯한 삶의 이유를 찾고 싶었던 그에게 강요된 것은 철저히 무의미한 노동이었다. 이해될 수 없고, 이해하고 싶지 않은 방식의 노동은 그에게 탈출할 의지를 북돋지만 탈출은 쉽지않다. 불가능하다. 죽음이 아니고서는.
그곳이 어디이든 망루가 있고, 빅브라더가 존재하는 세상을 탈출한다는 것은 어쩌면 우리같은 소시민, 아니 인간에게 불가능한 일인지도 모른다. 모래의 유동이 아름답다고 느끼고 정착하는 삶에 의문을 던졌던 그가 유동하는 모래속에 또 다시 정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은 답답함을 넘어 괴기스럽다. 그러나, 그 괴기스러움이 현실을 지탱하는 힘이다. 다시말해 부조리가 실존이다. 또한, 실존을 벗어나서 고려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인간의 것이 아니다.
그러니, 배트맨이 지켜낼 수 있는 고담시는 어디에도 없다. 따라서 모래속에 갇힌 그를 구할 수 있는 배트맨, [절대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그렇게 도드라진 조커, [절대악]도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니 그를 가둔 주민들은 그에게 담배도, 물도, 술도, 여자도 내어준다. 그럼에도 모래는, 그리고 그곳의 주민들은 그를 가둔다. 그것은 우리 모두가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당신]들을 향해 끊임없이 발톱을 세우는 고만고만한 조커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사실이라면, 배트맨과 같은 존재를 기대하고 응원하지만, 우리는 우리 손으로 배트맨을 죽일 것이다. 그것이 실존이고 인간이다.
글의 결말에서 어떤 희망도 읽기 힘들다. 당연한 일이다. 모래의 여자, 모래의 남자는 모두 우리다. 따라서, 문제는 적이 아니라 체제다. 더 나아가 자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