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시선 298
김기택 지음 / 창비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시집 [껌]에서 김기택의 언어와 시선은 물질 문명을 비판할 때는 더욱 단단해졌고, 폭력을 목격하는 장면에서는 더욱 친절해졌다. 또한 그의 친절한 시선이 안내하는 세계는 별거 없을 것 같은 일상적인 풍경을 단번에 '헉'소리와 '움찔'거림이 존재하는 풍경으로 바꾸어 놓는다.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일상에 늘상 존재하는 가리워진 폭력이다.  

가령 그의 시「고양이 죽이기」를 보면 "야생동물을 잡아먹는 것은 이미 오래전부터,/호랑이나 사자의 이빨과 발톱이 아니라/잇몸처럼 부드러운 타이어라는 걸 알 리 없는 어린 고양이었다./승차감 좋은 승용차 타이어의 완충장치는/물컹거리는 뭉개짐을 표나지 않게 삼켜버린 것이다./씹지 않아도 혀에서 살살 녹는다는/어느 소문난 고깃집의 생갈비처럼 부드러운 육질의 느낌이/잠깐 타이어를 통해 내 몸으로 올라왔다./부드럽게 터진 죽음을 뚫고/그 느낌은 내 몸 구석구석을 핥으며/쫄깃쫄깃한 맛을 오랫동안 음미하고 있었다./음각무늬 속에 낀 핏자국으로 입맛을 다시며/타이어는 식욕을 마저 채우려는 듯 속도를 더 내었다" 라던가 다른 시「껌」에서 "이빨들이 잊고 있던 먼 살육의 기억을 깨워/그 피와 살과 비린내와 늘 함께 놀던 껌/지구의 일생 동안 이빨에 각인된 살의와 적의를/ 제 한몸에 고스란히 받고 있던 껌/마음껏 뭉개고 갈고 짓누르다/이빨이 먼저 지쳐/마지못해 놓아준 껌" 이라고 묘사하고 있는 작가의 시들은 이미 문명의 폭력에 익숙해진 독자들 앞에 폭력의 풍경을 친절하게 전시한다. 이 때 작가의 의도된 친절함은 독자로 하여금 '헉'소리를 유발하게 하는 계산된 장치이며, 거기서 더 나아가 독자를 '움찔'거리게 만드는 기괴함으로 다가온다.  이렇듯 작가의 집요한 친절함이 독자를 '헉'에서 머무르지 않고, '움찔'거리게 만드는 것은 고통의 반대편에 놓인 고통을 즐기는 자들의 무의식적인 즐거움까지 적나라하게 보여주기 때문일 것이다. 타자의 고통을 통해 허기를 채워야 하는 모든 것들의 태생적인 비극을 바라보는 일은 제 스스로 생명을 가진 존재라는 것 자체를 고통스럽게 하는 일일 것이다.    

살의를 드러내지 않고 식탁을 차릴 수 있는, 그래서 적당히 세탁되어진 죽은 생명들을 섭취하며 사는, 타자의 고통을 단순히 지폐 몇 장으로 교환하며 눈 가리고 살아온 내게 그는 「코뚜레」에서 "코는/소의 몸에서 가장 예민하고 부드러운 곳/붉은 혀만이 수시로 들락거리는 깊은 구멍일 뿐인데/저렇게 단단하게 잠가둔 걸 보니 수상해./그 구멍에서 가끔 뜨거운 공기가 나오고/신음소리도 나오고/희고 걸쭉한 분비물도 나오는 걸 보니 더욱 수상해./근질근질질해서 견딜 수 없는 열쇠/열쇠구멍 없는 자물쇠를 열 유일한 열쇠,도끼가/어느날 저 자물통을 부술 거야/허나 도끼가 범할 일을 자세히 열거하고 싶진 않네,/저렇게 일평생 순결을 감금당하고도/도끼에 겁탕당할 이마/겁탈당할 피 겁탈당할 죽음을,/겁탈당한 후에 다시 발가벗겨질 가죽과/그 속에 든 발갛고 축축하고 말랑말랑한 순결을." 이라고 도살의 현장을 비밀스럽게 들려준다. 그리고 겁탈당한 죽음과 말랑말랑한 순결이 내 이빨의 살기와 내 혀의 황홀한 미각에게 묻는다. 아직도 수염에서 슬픔과 두려움이 자라고 있는가,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