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공교롭게도 나는 작년에 도시 내 반려견의 바이러스 질병을 조사한바 있다. 유기견는 버려졌거나 잃어버린 반려견이다. 도시마다 유기견을 관리하는 동물보호소가 있다. 생태적으로 사람과 개는 포유동물 중에 가장 오래된 반려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세기 전쟁시대를 지나 현대의 경제발전은 사람과 개의 관계적 모델을 다양화했다. 개는 반려뿐만 아니라 안내, 탐지, 영화, 레저 등에 참여되고 있다.
특히 소설과 영화에서 개는 인성화되는 경향이 있다. 만약 개의 인수공통전염병이 집단적으로 발생된다면 그것은 대재앙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높다. 즉 사람과의 교차감염에 대한 우려와 비정상적인 상황때문이다. 지난 번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른 경제적 손실 등을 우리는 잘 알고있다. 문학적으로,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세균)는 유럽의 대재앙(2차대전)을 은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연가시(기생충), 눈 먼자들의 도시(바이러스),윌드워즈Z(바이러스) 등은 재난구제 위주로 전개된다.
올 6월 출간된 '28'에서는 개들에게 발생한 '빨간눈 전염병'이 3일만에 치사율 100%를 발휘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 질병이다. 개뿐만 아니라 개에게 물린 사람도 감염되어 죽는다. 작가는 개의 질병이 사람에게 전염되는 '화양'의 경계를 중심으로 외부 또는 내부의 사람끼리 생존 폭력으로 변질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화양'은 서울의 근교 29만의 소도시이다. 이 도시의 28일간 재앙을 국가는 어떻게 대처하는가를 보여준다. 특히 사람과 살아 있는 모든 것들의 생존을 향해 어떻게 구원을 갈망하는가를, 5명의 인물과 1마리 개의 시점을 극도의 단문과 서사적 속도감으로 몰입시킨다.
소설가 '정유정'은 함평출신으로 자생적 지역(광주)작가이다. 그녀는 전직 간호사로 동물을 주 캐릭터로 한 작품 중 역동성이 뛰어난 한국 작가이다. 박완서 작가처럼 40대이후 비시스템적 경로로 나타난 작가로서 '내 심장을 쏴라', '7년의 밤' 등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녀의 소설은 신경숙 작가처럼 내면과 자아보다는 사건과 그 전개에 몰입한다. '28'은 5.18을 소재로 한 소설은 아니다. 작가는 구제역과 AI긴급방역을 위해 대살처분 동영상을 본것이 이 소설의 발상이 되었다.
소설의 설정과 지명은 광주의 도심과 5.18의 당시 상황과 유사하다. 백운교차로, 남구 진원동(진월동), 군인들의 무차별 집단 발포, 산속의 암매장, 남부봉쇄선, 왜곡된 언론, 북부미래병원, 유기동물보호소 드림랜드, 백운산, 백운정신병원, 광주댐 방죽, 화양 동부경찰서, 유기견 임상 수의사(서재형), 늑대개가 등장한다. 사람의 생존을 위해 가축을 무차별 살처분하는 행태는 사람이 개의 전염병으로부터 보호하기 받기 위해 유기견을 사살하는 잔혹성과 오염된 '화성'에 대한 집단적 또는 개인적 폭력성을 은유한다. '28'은 사람의 대재앙을 해결 할 주체는 사람이라는 희망의 묵시록이다. '1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