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음으로 읽어야 할 책

 일본은 1945815일 태평양전쟁에서 항복선언을 하고 패망했다. 일본의 전 국토가 초토화되고 300만 명 넘는 군인과 민간인이 죽었다. 인류 역사상 유일무이하게 원자폭탄을 맞고 백기를 든 일본에 대한 존 톨런드(1912~2004)1970년 내놓은 책 <일본 제국 패망사>(글항아리)이다.

 

 1972년 퓰리처상을 받은 이 저서에서 당시 일본 지휘부도 미국과 전쟁을 벌이는 일이 무모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한다. 진주만 공격 넉 달 전인 19418월을 마지막 주 연락 회의에 참석한 육군성 이와쿠로 대좌는 미국과 일본이 전쟁 수행능력이 현격한 차이가(철간 생산 201, 석유 1001, 석탄 101, 비행기 151, 전함 21, 노동력 51 )있다고 보고했다.

 

 이렇게 전쟁에 대한 전망이 비관적인데도 캘리포니아주의 크기에 불과한 일본은 왜 열 배 더 강한 미국에 자살행위와 같은 공격을 했을까? 대미 개전을 놓고 1년간의 지루한 논쟁 끝에 어떻게 전쟁파가 외교파를 이겼을까? 두 국가 사이의 전쟁은 피할 수 없는 일이었을까?

 

 전쟁파는 기습공격으로 짧은 기간에 전쟁을 마무리하면 이길 수 있다는 '희망 사고'에 묻혀 버렸다. 역사는 반복된다고 했으나 인간의 본성만이 반복되는 것 같다. 정말 일본인의 본성은 반복되고 있는 것일까? 경제전쟁 또한 치밀한 계산하에 진행되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에 일본을 생각하며

  


댓글(0)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입속보다 장에 좋은 식습관 구축하기

  2개월 전쯤인가 대학병원 병실에서 만났을때 내게 주었던 책이다. 그때가 나와의 마지막 시간이었다. 그 전에도 '자제력'과 '혼자의 시간'에 대한 책을 추천하여 주었다. 집에 돌아와 그가 남긴 책속을 뒤적인다. 돌아올 수 없는 시간에 대한 연민을 느낀다. 좋은 사람이었는데 오래 기억될 것으로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제와 해법

  최근 일본의 경제조치(화이트리스트)를 보면서 우리의 기초과학 연구 투자와 산업자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더불어 조선의 '7년전쟁'(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36년)에 대한 우리 역사를 다시 읽는다. 장군는 적의 침략에 대비했다. 그리고 마지막 전투에서 목숨을 잃었다. 그 어떤 인물도 따를 수 없었던 단단함과 묵묵함으로 자신의 길을 가는 엄혹함에 한 여름인데도 서늘하다. 

 

  이순신은 패배의 울분을 노래하지 않았다. 그의 전략은 정교하다. 필승 전술과 무기로 왜적을 무찌른다. 이순신의 상징은 위기 극복이다. 그 시작은 정보 수집이다. 방책이 용의주도해진다. 준비는 치밀하다. 이순신의 전쟁 서사는 완변주의다. 대비의 게으름은 엄벌이다. <난중일기>에 결정적 구절은 '나를 알고 적을 알아야만 백번 싸워도 위태함이 없다고 하지 않았는가' 이다. 이순신은 조선수군과 왜군을 비교.해부하여 균형과 냉정함을 투사했다.

 

  

 

 강진과 해남에 관련된 두 인물에 대한 평전도 읽는다. 고산 윤선도의 유년기에 일어난 가장 큰 사건으로 '7년전쟁'이 있었다. 1592년(선조 25), 고산의 나이 6세 때, 참혹한 침략전쟁이었다.

 

  고산 윤선도의 증손자인 공재 윤두서는 뛰어난 화가였을 뿐 아니라 천문, 지리, 수학, 의학, 병법 등 다방면에 걸친 박학을 자랑했다. 공재는 다산 정약용의 외조부이기도 한데, 상상해 보면 다산의 실학이 공재를 거쳐 고산에까지 그 연원이 닿아 있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읽어야 할 책
    from 고립된 낙원 2019-08-08 2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