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산업혁’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대통령의 연설문 또는 신문의 기고문에 애용된다. 무슨 의미를 지닌 말인지를 설명하거나 이해를 돋는 책들이 쏟아지거나 개인의 사고방식의 전환을 역설하는 강연도 있다. 이 용어는 2016년 세계 경제 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에서 언급되었으며, 정보 통신 기술(ICT) 기반의 새로운 산업 시대를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다.

 

 

   4차 산업혁명은 기하급수적 변화를 일으킨다. 즉 융합의 혁명이다. 인간과 기계의 융합,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의 융합, 공학적인 것과 생물학적인 것과 융합(합성생물학), 조직과 비조직의 융합이 그것이다. 더 무서운 것은 이 4가지 각기 다른 융합이 또 서로 융합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3차 산업혁명의 시대에도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헉헉거리고 있다.  4차는 물리학과 디지털 그리고 생물학 사이에 놓인 경계를 허무는 기술적 융합이다.  미래의 융합시대는 우리의 현실에 와 있으나 우리가 그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통섭이라는 학문적 개념이 생활속에서 융합의 결과를 선보이는 것이다. 

 

   * 미래창조과학블로그

 

   ’제4차산업혁명’과 나는 어떤 연결 고리를 가지고 있는지 생각해 본다. 이 또한 불평등을 생산하는 새로운 줄세우기가 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갖게 한다. 중요한 것은 균형이다. 새 기술을 배척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새 아이폰을 물신숭배할 이유도 없다. 이런 시대일수록 직접 만나서 상대방의 눈빛을 보며 대화하며 신뢰를 쌓아야 차별화된다.

 

 

   한국의 제4차산업혁명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준비는 이해되지만 영미권에서 쓰는 표현은 아닌 듯하다. 그들은 구호적인 단계를 넘어서 선도 산업으로 자리메김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계획하고 있는 새 산업지도를 완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4차 산업혁명은 자연스럽게 접목될 것으로 본다. '17.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