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수 전쟁 2017 살림 YA 시리즈
새시 로이드 지음, 김현수 옮김 / 살림Friends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1977년은 내가 고등학교 1학년때이다. 광주시내 고지대 단독주택에는 수돗물 공급이 원활치 못했다. 채수장의 저수량 부족으로 제한 급수를 하였기 때문이다. 자취 생활을 했던 나는 주로 휴일에 빨래를 했다. 주중에는 수둣물을 받아 두거나 인근 통장댁 작두펌프 지하수를 한 바케스 씩 길러다 저녁 밥을 해먹곤 했었다. 고지대에 속한 우리집 수도꼭지에서 물이 나오는 일은 드물었다. 귀가하면 물 걱정없이 씻고 빨래하고 밥해먹는 것이 불편했다. 공부에 몰입할 수 없는 생활 요소였던 것 같다.


 여름 토요일 밤에 교복이나 양발 등을 바케스에 넣고 월산동 수박등을 넘어 지금의 무등시장이 들어선 논의 둠벙(웅덩이)에서 빨래를 했다. 모기에 뜯기며 등목도 했다. 자정이 넘어 자취방으로 돌아와서야 저녁밥을 먹었다. 곧 하계U대회가 열릴 광주는 네 곳의 댐에서 채수되며 배수지를 경유하여 식수를 공급하고 있다. 38여년이 지난 광주의 물 사정은 획기적으로 좋아졌다.


 UN 비영리단체인 '국제인구행동'의 기준에에 따라 국민 1인이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수자원 총량 1700m3 이상이면 물 풍요, 1,000-1,700m3이면 물부족 그리고 1000m3이하면 물기근 국가로 분류되었다. 인구 5,000만명을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개인당 년 물소비량이 1,500m3라 물부족 국가로 분류되어 있다.


 현재 물부족을 체감하지 못한 우리나라는 성공적으로 수자원을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나, 가뭄이 지속될 전망이다. 최근 167년만에 최악의 가뭄이 미국 켈리포니아를 덥치고 있다. 세계적으로 물관리 정책이 뛰어난 나라는 호주다. 호주의 물값 세제 정책이 주요한듯하다. 또한 절수 정책으로 성공한 나라는 싱가폴이다. 깨끗한 물 만큼 좋은 음료는 없다. 1506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